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KFIC, 수산물 수출정보 11월호, 중국 화남권역 수입 동향·한국의 11월 수출 동향 정보 등 수록
담당부서 해외시장분석센터 보도일 2017-01-04
파일

KFIC, 수산물 수출정보 11월호,

 중국 화남권역 수입 동향·한국의 11월 수출 동향 정보 등 수록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양창호) 해외시장분석센터에서는 국내 수산업계의 수산물 수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The Monthly Review of Fishery Export Information’ 11월 호를 발간·배포한다고 밝혔다.


□ 수산물 수출정보지 11월 호에는 중국 7대 권역 중 수산물 수입 규모가 2번째로 큰 화남권역의 수입 동향과 한국의 11월 수산물 수출 동향, 해외시장 이슈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 중국 화남권역은 중국의 7대 권역(화북, 화동, 화남, 화중, 동북, 서남, 서북)중 2위의 수산물 수입 지역으로 2015년 기준 22억 달러를 수입하였다.

ㅇ 화남권역 내 주요 수입 지역은 광동성으로 연간 13억 달러 이상 수입하여, 권역 내 수입액의 65.9%, 중국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15.4%를 차지하고 있다.

ㅇ 주요 수입 대상국은 페루, 미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상위 5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최근 3년 평균 12억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57.5%를 차지하였다.

ㅇ 주요 수입 품목은 어분, 새우, 오징어 등으로 어분 수입이 연간 약 9억 달러 이상으로 전체 수입의 40%이상을 차지해 가장 많고, 최근 연어와 김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ㅇ 對한국 수산물 수입은 연간 약 8백만 달러로 김, 어분, 오징어 등을 주로 수입하였다.


□ 한편, 2016년 11월 우리나라 누적 수산물 수출액은 19억 5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일본, 중국, 미국, 태국, 베트남 등 주요 5개국으로의 수출이 해당국의 수요 증가, 생산량 감소로 인한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증가하였다.

ㅇ 품목별로는 수출 가격 상승, 신규 시장 개척 및 수출여건 개선 등의 영향으로 참치, 김, 오징어, 전복 등의 수출이 전년 동기보다 증가하였다. 반면, 굴의 경우 전년 동기와 비교해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수출 다각화 노력, 주요 수출 대상국의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9월 이후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다.


□ ‘The Monthly Review of Fishery Export Information’은 수산물수출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kfishinfo.net/ko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문의처 1644-6419, Kfic@kmi.re.kr)

보도자료 상세보기
KFIC, 수산물 수출정보 11월호, 중국 화남권역 수입 동향·한국의 11월 수출 동향 정보 등 수록
담당부서 해외시장분석센터 보도일 2017-01-04
파일

KFIC, 수산물 수출정보 11월호,

 중국 화남권역 수입 동향·한국의 11월 수출 동향 정보 등 수록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양창호) 해외시장분석센터에서는 국내 수산업계의 수산물 수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The Monthly Review of Fishery Export Information’ 11월 호를 발간·배포한다고 밝혔다.


□ 수산물 수출정보지 11월 호에는 중국 7대 권역 중 수산물 수입 규모가 2번째로 큰 화남권역의 수입 동향과 한국의 11월 수산물 수출 동향, 해외시장 이슈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 중국 화남권역은 중국의 7대 권역(화북, 화동, 화남, 화중, 동북, 서남, 서북)중 2위의 수산물 수입 지역으로 2015년 기준 22억 달러를 수입하였다.

ㅇ 화남권역 내 주요 수입 지역은 광동성으로 연간 13억 달러 이상 수입하여, 권역 내 수입액의 65.9%, 중국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15.4%를 차지하고 있다.

ㅇ 주요 수입 대상국은 페루, 미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상위 5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최근 3년 평균 12억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57.5%를 차지하였다.

ㅇ 주요 수입 품목은 어분, 새우, 오징어 등으로 어분 수입이 연간 약 9억 달러 이상으로 전체 수입의 40%이상을 차지해 가장 많고, 최근 연어와 김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ㅇ 對한국 수산물 수입은 연간 약 8백만 달러로 김, 어분, 오징어 등을 주로 수입하였다.


□ 한편, 2016년 11월 우리나라 누적 수산물 수출액은 19억 5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일본, 중국, 미국, 태국, 베트남 등 주요 5개국으로의 수출이 해당국의 수요 증가, 생산량 감소로 인한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증가하였다.

ㅇ 품목별로는 수출 가격 상승, 신규 시장 개척 및 수출여건 개선 등의 영향으로 참치, 김, 오징어, 전복 등의 수출이 전년 동기보다 증가하였다. 반면, 굴의 경우 전년 동기와 비교해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수출 다각화 노력, 주요 수출 대상국의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9월 이후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다.


□ ‘The Monthly Review of Fishery Export Information’은 수산물수출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kfishinfo.net/ko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문의처 1644-6419, Kfic@kmi.re.kr)

이전글 2016년 3분기 일본의 對세계 수산물 수입 소폭 상승
다음글 KMI 해양아카데미, 고등학생 및 일반용 해양교육 교재 「바다이야기」 개정판 발간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