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2016년 3분기 일본의 對세계 수산물 수입 소폭 상승
담당부서 해외시장분석센터 보도일 2017-01-25
파일

2016년 3분기 일본의 對세계 수산물 수입 소폭 상승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양창호) 해외시장분석센터가 일본의 對세계수산물 수입 시장의 최신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2016년 3분기 일본의 수산물 수입 동향”을 배포한다.
○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 제1위 국가인 일본에 대한 2016년 수출은 일본 내 작황 부진, 엔고 현상 등을 배경으로 전년 보다 늘어났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수출 상위국으로, ’16년 한국산 수산물 수출이 증가한 가운데 일본의 수산물 수입 시장에 대한 최신 동향을 살필 수 있는 통계 정보가 발표된 것이다.
 
□ 본 정보지는 일본의 2016년 3분기까지의 수산물 수입 동향에 대한 통계를 국가별, 품목별, 지역별로 세부적으로 제공한다.
○ 일본은 엔저 등을 배경으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총 수산물 수입이 감소세를 보였으나, 2016년 3분기(누적)에는 105억 달러를 수입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하였다.
○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 미국, 칠레, 태국, 베트남 등으로, 제1위 수입국인 중국을 비롯해 러시아, 노르웨이, 한국산의 수입은 증가하였다. 참고로 ’16년 3분기까지의 對한국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하였다.
○ 품목별로 보면 새우, 다랑어, 연어, 게, 뱀장어 등 상위 품목의 수입이 증가하였다. 한국산의 경우 주요 품목인 다랑어를 필두로, 해조류, 게류, 김 등이 증가하였다.
○ 한편 일본 내 주요 수산물 수입지역은 도쿄, 시미즈, 오사카, 가와사키, 고베 순으로, 이들 지역의 수입액은 일본 수산물 총 수입의 약 61%를 차지한다.


□ “2016년 3분기 일본의 수산물 수입 동향”에 대한 문의사항 또는 수신신청은 KMI 해외시장분석센터(☏1644-6419, 이메일 kfic@kmi.re.kr) 혹은 수산물수출정보포털(www.kfishinfo.net)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2016년 3분기 일본의 對세계 수산물 수입 소폭 상승
담당부서 해외시장분석센터 보도일 2017-01-25
파일

2016년 3분기 일본의 對세계 수산물 수입 소폭 상승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양창호) 해외시장분석센터가 일본의 對세계수산물 수입 시장의 최신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2016년 3분기 일본의 수산물 수입 동향”을 배포한다.
○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 제1위 국가인 일본에 대한 2016년 수출은 일본 내 작황 부진, 엔고 현상 등을 배경으로 전년 보다 늘어났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수출 상위국으로, ’16년 한국산 수산물 수출이 증가한 가운데 일본의 수산물 수입 시장에 대한 최신 동향을 살필 수 있는 통계 정보가 발표된 것이다.
 
□ 본 정보지는 일본의 2016년 3분기까지의 수산물 수입 동향에 대한 통계를 국가별, 품목별, 지역별로 세부적으로 제공한다.
○ 일본은 엔저 등을 배경으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총 수산물 수입이 감소세를 보였으나, 2016년 3분기(누적)에는 105억 달러를 수입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하였다.
○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 미국, 칠레, 태국, 베트남 등으로, 제1위 수입국인 중국을 비롯해 러시아, 노르웨이, 한국산의 수입은 증가하였다. 참고로 ’16년 3분기까지의 對한국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하였다.
○ 품목별로 보면 새우, 다랑어, 연어, 게, 뱀장어 등 상위 품목의 수입이 증가하였다. 한국산의 경우 주요 품목인 다랑어를 필두로, 해조류, 게류, 김 등이 증가하였다.
○ 한편 일본 내 주요 수산물 수입지역은 도쿄, 시미즈, 오사카, 가와사키, 고베 순으로, 이들 지역의 수입액은 일본 수산물 총 수입의 약 61%를 차지한다.


□ “2016년 3분기 일본의 수산물 수입 동향”에 대한 문의사항 또는 수신신청은 KMI 해외시장분석센터(☏1644-6419, 이메일 kfic@kmi.re.kr) 혹은 수산물수출정보포털(www.kfishinfo.net)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전글 2017년 1월 해운업 BSI 조사결과
다음글 KFIC, 수산물 수출정보 11월호, 중국 화남권역 수입 동향·한국의 11월 수출 동향 정보 등 수록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