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3 세계어촌대회(ICFC) 창설 기획위원회 개최 | |||
---|---|---|---|
담당부서 | 어촌연구부 생활경제공간연구실 | 보도일 | 2023-05-24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3 세계어촌대회(ICFC) 창설 기획위원회 개최 - 세계 어촌이 직면한 공동문제 극복과 지속가능성 도모 - - 범국가적 논의를 위한 플랫폼 마련과 정례화를 위한 첫걸음 내딛어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5월 23일(화) 부산에서 2023 세계어촌대회(ICF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shing Communities) 창설과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정부기관, 지자체, 업계, 언론계, 전문가 등 30여명이 모여 기획위원회를 개최했다.
어촌은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수산업과 지역발전의 원동력이었으나 고령화, 인구감소, 기후변화와 재난 취약성, 문화 유산의 상실 등 공동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어촌인구 급감으로 인한 어촌의 소멸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지난해부터 전 세계가 공동으로 마주한 어촌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비전과 지속가능성을 이행할 수 있는 범국가적 논의의 장인 세계어촌대회의 창설을 추진해 온 바 있다.
이날 처음으로 개최한 기획위원회는 오는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부산국제여객터미널(BPEX)에서 개최되는 '2023 세계어촌대회(ICFC)'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전 세계 어촌의 위기와 현안, 주제, 초청국가, 프로그램(개막행사, 학술행사, 부대행사 등), 행사 홍보전략 등을 논의하고, 후원기관 참여 및 국민적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홍보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2023 세계어촌대회」는 글로벌 어촌사회의 다양한 문제 극복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제사회에서는 처음으로 시도하는 국제행사로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유관 정부 부처, 해양수산 유관기관, 어업인 단체와 FAO 등 국제기구 및 주요 연안국 고위급 인사, 국제 어촌전문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2023년 세계어촌대회는 "하나의 바다, 하나의 어촌 : 미래를 향한 전환과 대항해"라는 주제로 ▲공동체(사회적자본) ▲어업분야 산업재해 ▲어업·양식 ▲청색어항(BP, Blue Port) ▲기후변화·재난안전 ▲스마트어촌 ▲어업유산 ▲국가 간 협력·연대 ▲여성·청년 어업인 ▲어촌관광 분야의 글로벌 현안과 우수 정책사례, 공동 이행과제 등에 대한 발제 및 토론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날 세계어촌대회 창설 기획위원회를 주최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종덕 원장은 "어촌이 가진 다양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상들이 이번에 창설되는 세계어촌대회를 통해 제시되고 저개발국, 개도국, 선진국 간에 정보공유와 협력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언급하고 특히, “세계어촌대회가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어촌의 위기를 극복하고 어촌르네상스를 위한 새로운 발상과 계기가 만들어지는 기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3 세계어촌대회(ICFC) 창설 기획위원회 개최 | |||
---|---|---|---|
담당부서 | 어촌연구부 생활경제공간연구실 | 보도일 | 2023-05-24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3 세계어촌대회(ICFC) 창설 기획위원회 개최 - 세계 어촌이 직면한 공동문제 극복과 지속가능성 도모 - - 범국가적 논의를 위한 플랫폼 마련과 정례화를 위한 첫걸음 내딛어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5월 23일(화) 부산에서 2023 세계어촌대회(ICF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shing Communities) 창설과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정부기관, 지자체, 업계, 언론계, 전문가 등 30여명이 모여 기획위원회를 개최했다.
어촌은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수산업과 지역발전의 원동력이었으나 고령화, 인구감소, 기후변화와 재난 취약성, 문화 유산의 상실 등 공동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어촌인구 급감으로 인한 어촌의 소멸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지난해부터 전 세계가 공동으로 마주한 어촌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비전과 지속가능성을 이행할 수 있는 범국가적 논의의 장인 세계어촌대회의 창설을 추진해 온 바 있다.
이날 처음으로 개최한 기획위원회는 오는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부산국제여객터미널(BPEX)에서 개최되는 '2023 세계어촌대회(ICFC)'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전 세계 어촌의 위기와 현안, 주제, 초청국가, 프로그램(개막행사, 학술행사, 부대행사 등), 행사 홍보전략 등을 논의하고, 후원기관 참여 및 국민적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홍보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2023 세계어촌대회」는 글로벌 어촌사회의 다양한 문제 극복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제사회에서는 처음으로 시도하는 국제행사로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유관 정부 부처, 해양수산 유관기관, 어업인 단체와 FAO 등 국제기구 및 주요 연안국 고위급 인사, 국제 어촌전문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2023년 세계어촌대회는 "하나의 바다, 하나의 어촌 : 미래를 향한 전환과 대항해"라는 주제로 ▲공동체(사회적자본) ▲어업분야 산업재해 ▲어업·양식 ▲청색어항(BP, Blue Port) ▲기후변화·재난안전 ▲스마트어촌 ▲어업유산 ▲국가 간 협력·연대 ▲여성·청년 어업인 ▲어촌관광 분야의 글로벌 현안과 우수 정책사례, 공동 이행과제 등에 대한 발제 및 토론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날 세계어촌대회 창설 기획위원회를 주최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종덕 원장은 "어촌이 가진 다양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상들이 이번에 창설되는 세계어촌대회를 통해 제시되고 저개발국, 개도국, 선진국 간에 정보공유와 협력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언급하고 특히, “세계어촌대회가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어촌의 위기를 극복하고 어촌르네상스를 위한 새로운 발상과 계기가 만들어지는 기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이전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와 정책연구협의회 개최 |
다음글 | ‘청년, 어촌현장에서 희망을 말하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전국 청년어업인 좌담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