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KMI,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구조적 하락 연구
담당부서 해운연구본부 해운금융연구실 보도일 2023-09-07
파일

KMI,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구조적 하락 연구

-국적선사들의 장기적인 전략 수립 필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코로나 팬데믹 전후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들의 투자 동향과 엔데믹 시대를 맞이하는 국적선사들의 대응방안에 관한 동향분석을 발간했다. KMI 최건우 박사(해운금융연구실장) 연구팀은 코로나 전후 기간 컨테이너 선사들의 경영실적을 분석하고 국적 중소선사들의 도전과제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최건우 박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기간 컨테이너 고운임 지속으로 3~5%에 불과했던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들의 이자 및 세전이익률(EBIT margin)2021년 이후 40% 이상으로 상승했다. 또한 2022년 이자 및 세전이익(EBIT) 총액은 2,963억 달러로 2019년 대비 40배 이상 증가하는 등 선사들의 경영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선사들은 늘어난 현금성 자산을 이익잉여금을 기반으로 재무구조 개선, 친환경 선박 발주를 통한 선대 확장 및 탈탄소 규제에 대응, 선사 기능 강화 및 물류부문 영역 확장을 위한 기업 인수합병, 해운산업 디지털 전환 및 친환경 연료 공급망 확보를 위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적선사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 경영실적이 개선되었으나 중소 국적선사의 참여 비중이 높은 한-/중 항로의 운임은 원양항로에 비해 상승 폭이 크지 않아 경영실적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최근 글로벌 선사들이 인트라 아시아 항로에 신규 항로 개설이 잦아 과거보다 경쟁적인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인트라 아시아 서비스 변화


구분

20201분기

20231분기

서비스 수

투입 선복량()

서비스 수

투입 선복량()

2M

3

29,520

3

33,999

오션 얼라이언스

4

53,289

2

36,321

디 얼라이언스

3

24,023

3

22,966

기타

34

167,215

54

190,619

44

274,047

62

283,905

글로벌 선사들의 독자노선은 기타에 포함됨

자료: KMI, Drewry(2020, 2023) 참조


현재 컨테이너 해운시장은 공급과잉으로 인한 충격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운임 약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기업은 디지털 전환을 통한 사업구조의 변화와 비용 절감, 시장에 공동 대응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 새로운 시장 진출을 모색해야 하며 정부와 산업계에서는 톤 세제 연장과 같은 정책적인 준비도 필요하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건우 해운금융연구실장은 수요 충격과는 다르게 공급과잉은 장기간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향후 컨테이너 시장의 구조적인 약세는 피할 수 없다.”면서 “‘디지털’, ‘탈탄소와 같은 미래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할 경우 시장 내 경쟁력이 상실될 수 있으므로 기업과 정부가 힘을 모아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기다.”라고 밝혔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KMI,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구조적 하락 연구
담당부서 해운연구본부 해운금융연구실 보도일 2023-09-07
파일

KMI,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구조적 하락 연구

-국적선사들의 장기적인 전략 수립 필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코로나 팬데믹 전후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들의 투자 동향과 엔데믹 시대를 맞이하는 국적선사들의 대응방안에 관한 동향분석을 발간했다. KMI 최건우 박사(해운금융연구실장) 연구팀은 코로나 전후 기간 컨테이너 선사들의 경영실적을 분석하고 국적 중소선사들의 도전과제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최건우 박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기간 컨테이너 고운임 지속으로 3~5%에 불과했던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들의 이자 및 세전이익률(EBIT margin)2021년 이후 40% 이상으로 상승했다. 또한 2022년 이자 및 세전이익(EBIT) 총액은 2,963억 달러로 2019년 대비 40배 이상 증가하는 등 선사들의 경영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선사들은 늘어난 현금성 자산을 이익잉여금을 기반으로 재무구조 개선, 친환경 선박 발주를 통한 선대 확장 및 탈탄소 규제에 대응, 선사 기능 강화 및 물류부문 영역 확장을 위한 기업 인수합병, 해운산업 디지털 전환 및 친환경 연료 공급망 확보를 위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적선사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 경영실적이 개선되었으나 중소 국적선사의 참여 비중이 높은 한-/중 항로의 운임은 원양항로에 비해 상승 폭이 크지 않아 경영실적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최근 글로벌 선사들이 인트라 아시아 항로에 신규 항로 개설이 잦아 과거보다 경쟁적인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인트라 아시아 서비스 변화


구분

20201분기

20231분기

서비스 수

투입 선복량()

서비스 수

투입 선복량()

2M

3

29,520

3

33,999

오션 얼라이언스

4

53,289

2

36,321

디 얼라이언스

3

24,023

3

22,966

기타

34

167,215

54

190,619

44

274,047

62

283,905

글로벌 선사들의 독자노선은 기타에 포함됨

자료: KMI, Drewry(2020, 2023) 참조


현재 컨테이너 해운시장은 공급과잉으로 인한 충격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운임 약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기업은 디지털 전환을 통한 사업구조의 변화와 비용 절감, 시장에 공동 대응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 새로운 시장 진출을 모색해야 하며 정부와 산업계에서는 톤 세제 연장과 같은 정책적인 준비도 필요하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건우 해운금융연구실장은 수요 충격과는 다르게 공급과잉은 장기간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향후 컨테이너 시장의 구조적인 약세는 피할 수 없다.”면서 “‘디지털’, ‘탈탄소와 같은 미래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할 경우 시장 내 경쟁력이 상실될 수 있으므로 기업과 정부가 힘을 모아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기다.”라고 밝혔다.

이전글 KMI, 항만 컨테이너 반·출입 예약시스템 가격결정모형 개발
다음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LOGMS 2023」 개최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