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2023년 연구성과 한눈에 본다”
담당부서 성과홍보실 보도일 2024-05-16
파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2023년 연구성과 한눈에 본다

- 5.21.()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KMI 정책연구 성과보고회 개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2024 KMI 정책연구 성과보고회를 오는 21()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작년에 이어 정부부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밀집한 세종시에서 열리는 이번 성과보고회는 해양수산부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후원으로 개최되며, KMI의 주요 연구성과를 해양·수산세션 및 해운·항만·물류세션 2개로 나누어 각각 6개의 연구성과를 발표한 후 세션별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세션별로 발표되는 총 12개의 성과발표 과제는 2023년에 KMI가 수행한 자체연구 51편 중 정책연구에서 선정되었으며 세종국책연구단지 중강당 3에서 개최되는 해양·수산 세션에서는 주민행태기반 해양정책 수용성 제고 설계방안 연구(이슬기) 연안도시의 쇠퇴와 대응방안 연구(강창우) 해양 플라스틱 재활용산업 공급사슬 기반조성 연구(이윤정) 양식어업 비과세 합리화 방안 연구(이정필) 식량안보를 고려한 수산물 수급관리 방안 연구(허수진) 어촌활력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이호림)를 발표한다.

 

중강당 4에서 개최되는 해운·항만·물류 세션에서는 해운산업의 미래변화 예측과 국내 대응 전략 연구(이호춘) 선사공동행위의 규제 및 행동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류희영) 항만연관산업 고도화 방안 연구(김세원) 항만의 생활물류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신정훈) AIS 기반 글로벌 선박 배기가스배출량 분석 연구(강무홍) 중소·중견 물류기업의 ESG경영 가이드라인 구축 연구(최나영환)를 발표한다.

 

종합토론은 KMI 조정희 경영부원장(해양·수산세션) KMI 최상희 연구부원장(해운·항만물류·세션)을 좌장으로 정부·학계·연구계·언론계 등 각계 각층의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한다.

 

KMI 김종덕 원장은 지난해 많은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냈던 정책연구 성과보고회를 작년에 이어 더욱 풍성한 내용으로 준비했다고 밝히며“KMI의 우수 연구성과를 국민들과 공유하고 해양수산정책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에 많은 성원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2024 KMI 정책연구 성과보고회에 대한 상세한 안내 및 참가 신청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홈페이지(https://www.kmi.re.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2023년 연구성과 한눈에 본다”
담당부서 성과홍보실 보도일 2024-05-16
파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2023년 연구성과 한눈에 본다

- 5.21.()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KMI 정책연구 성과보고회 개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2024 KMI 정책연구 성과보고회를 오는 21()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작년에 이어 정부부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밀집한 세종시에서 열리는 이번 성과보고회는 해양수산부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후원으로 개최되며, KMI의 주요 연구성과를 해양·수산세션 및 해운·항만·물류세션 2개로 나누어 각각 6개의 연구성과를 발표한 후 세션별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세션별로 발표되는 총 12개의 성과발표 과제는 2023년에 KMI가 수행한 자체연구 51편 중 정책연구에서 선정되었으며 세종국책연구단지 중강당 3에서 개최되는 해양·수산 세션에서는 주민행태기반 해양정책 수용성 제고 설계방안 연구(이슬기) 연안도시의 쇠퇴와 대응방안 연구(강창우) 해양 플라스틱 재활용산업 공급사슬 기반조성 연구(이윤정) 양식어업 비과세 합리화 방안 연구(이정필) 식량안보를 고려한 수산물 수급관리 방안 연구(허수진) 어촌활력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이호림)를 발표한다.

 

중강당 4에서 개최되는 해운·항만·물류 세션에서는 해운산업의 미래변화 예측과 국내 대응 전략 연구(이호춘) 선사공동행위의 규제 및 행동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류희영) 항만연관산업 고도화 방안 연구(김세원) 항만의 생활물류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신정훈) AIS 기반 글로벌 선박 배기가스배출량 분석 연구(강무홍) 중소·중견 물류기업의 ESG경영 가이드라인 구축 연구(최나영환)를 발표한다.

 

종합토론은 KMI 조정희 경영부원장(해양·수산세션) KMI 최상희 연구부원장(해운·항만물류·세션)을 좌장으로 정부·학계·연구계·언론계 등 각계 각층의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한다.

 

KMI 김종덕 원장은 지난해 많은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냈던 정책연구 성과보고회를 작년에 이어 더욱 풍성한 내용으로 준비했다고 밝히며“KMI의 우수 연구성과를 국민들과 공유하고 해양수산정책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에 많은 성원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2024 KMI 정책연구 성과보고회에 대한 상세한 안내 및 참가 신청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홈페이지(https://www.kmi.re.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전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제주포럼에서 해양 공존ㆍ번영 위한 글로벌 협력 방안 제시”
다음글 2024년 제1회 KFIC 수출솔루션 세미나 개최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