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글로벌 오션 리더스 포럼(Global Ocean Leaders Forum)’ 부산에서 성료 | |||
---|---|---|---|
담당부서 | 해양연구본부 | 보도일 | 2025-04-30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글로벌 오션 리더스 포럼(Global Ocean Leaders Forum)’, 부산에서 성료 - 제10차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 2025의 공식 부대행사로 개최 - - 블루 파이낸스(Blue Finance)로 글로벌 해양리더십 확장 모색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해양수산부, 세계은행, 부산광역시와 함께 2025년 4월 30일(수) 부산 벡스코에서 ‘글로벌 오션 리더스 포럼’(Global Ocean Leaders Forum)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전 세계가 직면한 해양환경 위기와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블루 파이낸스(Blue Finance) 활용 전략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해양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해양경제 성장을 촉진할 글로벌 해양리더십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포럼에는 공동주최기관과 함께 △Global Industry Hub △Oceans5 △Patagonia △기아(Kia) △한국수출입은행을 포함한 세계적 주요 기관을 비롯한 비정부기구, 기업 등이 참여하여 글로벌 협력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전 세계 해양리더들이 모이는 제10차 아워오션콘퍼런스(Our Ocean Conference) 2025의 공식 부대행사로 개최되어, 올해의 슬로건인 ‘우리의 바다, 우리의 행동(Our Ocean, Our Action)'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금융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 논의의 장이 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전 지구적 해양환경 위기 극복과 지속가능한 바다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서, 최근 국제사회가 주목하는 블루 파이낸스(Blue Finance)의 개념과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전통적으로 개별 국가와 국제기구 중심이었던 글로벌 해양리더십의 범위를 기업, 비정부기구, 재단 등 민간 부문까지 확대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으며 이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글로벌 블루 파이낸스 협력 플랫폼의 필요성과 구축 방안을 깊이 있게 논의하고 국제적인 공감대를 형성했다.
아울러 ▲해양보호 및 복원 ▲지속가능한 어업 ▲해양 탈탄소화 ▲해양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다양한 블루 파이낸스 사례와 국제적 성공 사례가 공유되었으며, 이러한 금융 메커니즘을 통해 민간 부문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실질적인 해양 문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과 융합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이번 포럼은 해양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블루 파이낸스의 혁신적 활용을 촉진하고, 이를 위한 국제사회의 실질적인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조정희 원장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지속가능한 해양경제 발전을 위한 블루 파이낸스의 재정 공급과 실제 현장 수요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하며 정부와 국제기구뿐 아니라 민간 부문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블루 파이낸스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원해 그 성과가 다시 현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상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강도형 장관은 “블루 이코노미 시대에 걸맞게 해양 보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금융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전하며 “이번 포럼을 통해 기후변화와 해양위기에 대응하는 혁신적 해법을 논의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대한민국이 글로벌 해양 리더십을 발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 포럼에서 도출된 논의와 협력방안은 2025년 아워오션콘퍼런스의 슬로건인 ‘우리의 바다, 우리의 행동'을 현실로 구현하는 데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글로벌 오션 리더스 포럼(Global Ocean Leaders Forum)’ 부산에서 성료 | |||
---|---|---|---|
담당부서 | 해양연구본부 | 보도일 | 2025-04-30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글로벌 오션 리더스 포럼(Global Ocean Leaders Forum)’, 부산에서 성료 - 제10차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 2025의 공식 부대행사로 개최 - - 블루 파이낸스(Blue Finance)로 글로벌 해양리더십 확장 모색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해양수산부, 세계은행, 부산광역시와 함께 2025년 4월 30일(수) 부산 벡스코에서 ‘글로벌 오션 리더스 포럼’(Global Ocean Leaders Forum)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전 세계가 직면한 해양환경 위기와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블루 파이낸스(Blue Finance) 활용 전략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해양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해양경제 성장을 촉진할 글로벌 해양리더십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포럼에는 공동주최기관과 함께 △Global Industry Hub △Oceans5 △Patagonia △기아(Kia) △한국수출입은행을 포함한 세계적 주요 기관을 비롯한 비정부기구, 기업 등이 참여하여 글로벌 협력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전 세계 해양리더들이 모이는 제10차 아워오션콘퍼런스(Our Ocean Conference) 2025의 공식 부대행사로 개최되어, 올해의 슬로건인 ‘우리의 바다, 우리의 행동(Our Ocean, Our Action)'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금융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 논의의 장이 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전 지구적 해양환경 위기 극복과 지속가능한 바다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서, 최근 국제사회가 주목하는 블루 파이낸스(Blue Finance)의 개념과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전통적으로 개별 국가와 국제기구 중심이었던 글로벌 해양리더십의 범위를 기업, 비정부기구, 재단 등 민간 부문까지 확대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으며 이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글로벌 블루 파이낸스 협력 플랫폼의 필요성과 구축 방안을 깊이 있게 논의하고 국제적인 공감대를 형성했다.
아울러 ▲해양보호 및 복원 ▲지속가능한 어업 ▲해양 탈탄소화 ▲해양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다양한 블루 파이낸스 사례와 국제적 성공 사례가 공유되었으며, 이러한 금융 메커니즘을 통해 민간 부문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실질적인 해양 문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과 융합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이번 포럼은 해양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블루 파이낸스의 혁신적 활용을 촉진하고, 이를 위한 국제사회의 실질적인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조정희 원장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지속가능한 해양경제 발전을 위한 블루 파이낸스의 재정 공급과 실제 현장 수요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하며 정부와 국제기구뿐 아니라 민간 부문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블루 파이낸스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원해 그 성과가 다시 현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상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강도형 장관은 “블루 이코노미 시대에 걸맞게 해양 보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금융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전하며 “이번 포럼을 통해 기후변화와 해양위기에 대응하는 혁신적 해법을 논의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대한민국이 글로벌 해양 리더십을 발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 포럼에서 도출된 논의와 협력방안은 2025년 아워오션콘퍼런스의 슬로건인 ‘우리의 바다, 우리의 행동'을 현실로 구현하는 데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전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글로벌 해양도시 혁신 네트워크 포럼(Global Ocean City Innovation Network)’ 성황리 개최 |
다음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쓰단당 세미나’ 개최... 시민단체와 함께 해양쓰레기 관련 성과 및 지식 공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