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해양수산 분야 인공지능(AI) 협력 생태계 구축 위한 2025 Sea AI 포럼 성황리 종료
담당부서 해양연구본부 보도일 2025-10-15
파일

external_image


해양수산 분야 인공지능(AI) 협력 생태계 구축 위한

‘2025 Sea AI 포럼성황리 종료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공동 주최,

14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 센터에서 개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원장 이희승)과 함께 1014()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 2025 Sea AI 포럼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는 해양수산 데이터 보유 및 활용 기관 간 실질적 협업 체계와 실행 방안 구축을 모색하기 위해 산··연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양 기관장의 개회사와 환영사로 시작해 인간과 AI의 협업 생성형 AI 기반 해양수산 산업 기술개발 R&D 전략 수산분야 AI 기술 개발 및 활용 사례 조선해양 AI Agent 기술 전망 해상교통 AI 기술 개발·활용 사례 등 주제 발표로 이어졌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전형모 해양수산AI전환지원단장은 KMI 연구지원 및 프로토타입 개발 사례를 주제로 발표했다. 해양수산 분야 AI 연구 인프라 구축 현황과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청색경제 혁신을 선도하는 생성형 AI를 추진하고, 이를 업무에 적용하는 성과를 소개했다.

 

발표에 이어 진행된 종합토론에서는 국제신문 박수현 국장 사회로 5인의 패널이 참여해 해양수산 AI 협력생태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패널들은 도메인 특화 AI 모델 개발 실무형 AI 인재 양성 버티컬 데이터센터 및 GPU 인프라 구축 공공데이터 접근성 개선 및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우수 사례와 토론을 통해 해양수산 분야의 특성을 반영한 AI 기술 개발과 이를 뒷받침할 인재 양성,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하며 "KMIKIOST를 중심으로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오늘 논의된 방안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해양수산 분야 인공지능(AI) 협력 생태계 구축 위한 2025 Sea AI 포럼 성황리 종료
담당부서 해양연구본부 보도일 2025-10-15
파일

external_image


해양수산 분야 인공지능(AI) 협력 생태계 구축 위한

‘2025 Sea AI 포럼성황리 종료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공동 주최,

14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 센터에서 개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원장 이희승)과 함께 1014()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 2025 Sea AI 포럼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는 해양수산 데이터 보유 및 활용 기관 간 실질적 협업 체계와 실행 방안 구축을 모색하기 위해 산··연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양 기관장의 개회사와 환영사로 시작해 인간과 AI의 협업 생성형 AI 기반 해양수산 산업 기술개발 R&D 전략 수산분야 AI 기술 개발 및 활용 사례 조선해양 AI Agent 기술 전망 해상교통 AI 기술 개발·활용 사례 등 주제 발표로 이어졌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전형모 해양수산AI전환지원단장은 KMI 연구지원 및 프로토타입 개발 사례를 주제로 발표했다. 해양수산 분야 AI 연구 인프라 구축 현황과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청색경제 혁신을 선도하는 생성형 AI를 추진하고, 이를 업무에 적용하는 성과를 소개했다.

 

발표에 이어 진행된 종합토론에서는 국제신문 박수현 국장 사회로 5인의 패널이 참여해 해양수산 AI 협력생태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패널들은 도메인 특화 AI 모델 개발 실무형 AI 인재 양성 버티컬 데이터센터 및 GPU 인프라 구축 공공데이터 접근성 개선 및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우수 사례와 토론을 통해 해양수산 분야의 특성을 반영한 AI 기술 개발과 이를 뒷받침할 인재 양성,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하며 "KMIKIOST를 중심으로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오늘 논의된 방안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전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근해어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어업관리체계 개편 방안 제시
다음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고충 사전 상담제’ 도입·운영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