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어업인의 지속가능한 경영환경 조성 및 제도적 개선 방향 제시
담당부서 어업·양식산업연구실 보도일 2025-10-29
파일

어업인의 지속가능한 경영환경 조성 및 제도적 개선 방향 제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내수면어업 허가·신고제도 개선 방안 연구 결과 발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내수면어업 허가·신고 제도 개선방안 연구』를 발표하고, 내수면어업의 합리적 관리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전체 수산업의 0.2% 수준으로 생산량이 미미해 정책적 사각지대에 놓였던 내수면어로어업을 대상으로 했다. 2019년 「내수면어업법」에서 내수면 양식 분야가 「양식산업발전법」으로 분법된 이후, 법 적용 범위가 협소해지고, 「수산업법」 및 「수산자원관리법」 준용 과정에서 규정 해석이 모호해지면서 지자체별 행정 처리 방식이 달라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업 허가·신고 제도의 미비점을 분석하고, 어업허가 세부 기준(주소지 조건, 허가 개수), 신고 기준, 허가 연장 및 변경 절차 등을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책임자인 최순 어업·양식산업연구실장은 “지자체별로 내수면어업 허가 기준이 상이해 현장 혼란이 발생하고 있으며, 타 지역민의 허가 신청으로 인한 행정 부담과 민원도 적지 않다”고 말하며 “내수면어업의 특성과 지역 실정을 반영한 합리적 제도 운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연구에서는 ▲허가 신청 시 주소지 조건 명확화 ▲허가 개수 제한 ▲신고어업 주소지 조건 및 효력상실 요건 ▲허가 지위 승계·변경·폐업 조항 신설 ▲허가대장 기록·관리 조항 신설 ▲허가·신고 처리기간 수정 등 6가지 주요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내수면어업 허가·신고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관련 법령 개정 등 제도 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내수면어업 허가·신고제도 개선은 지속가능한 내수면어업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다.”고 말하며 “이번 연구가 내수면어업의 합리적 운영과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어업인의 지속가능한 경영환경 조성 및 제도적 개선 방향 제시
담당부서 어업·양식산업연구실 보도일 2025-10-29
파일

어업인의 지속가능한 경영환경 조성 및 제도적 개선 방향 제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내수면어업 허가·신고제도 개선 방안 연구 결과 발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내수면어업 허가·신고 제도 개선방안 연구』를 발표하고, 내수면어업의 합리적 관리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전체 수산업의 0.2% 수준으로 생산량이 미미해 정책적 사각지대에 놓였던 내수면어로어업을 대상으로 했다. 2019년 「내수면어업법」에서 내수면 양식 분야가 「양식산업발전법」으로 분법된 이후, 법 적용 범위가 협소해지고, 「수산업법」 및 「수산자원관리법」 준용 과정에서 규정 해석이 모호해지면서 지자체별 행정 처리 방식이 달라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업 허가·신고 제도의 미비점을 분석하고, 어업허가 세부 기준(주소지 조건, 허가 개수), 신고 기준, 허가 연장 및 변경 절차 등을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책임자인 최순 어업·양식산업연구실장은 “지자체별로 내수면어업 허가 기준이 상이해 현장 혼란이 발생하고 있으며, 타 지역민의 허가 신청으로 인한 행정 부담과 민원도 적지 않다”고 말하며 “내수면어업의 특성과 지역 실정을 반영한 합리적 제도 운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연구에서는 ▲허가 신청 시 주소지 조건 명확화 ▲허가 개수 제한 ▲신고어업 주소지 조건 및 효력상실 요건 ▲허가 지위 승계·변경·폐업 조항 신설 ▲허가대장 기록·관리 조항 신설 ▲허가·신고 처리기간 수정 등 6가지 주요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내수면어업 허가·신고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관련 법령 개정 등 제도 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내수면어업 허가·신고제도 개선은 지속가능한 내수면어업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다.”고 말하며 “이번 연구가 내수면어업의 합리적 운영과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전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전국 성인남녀 대상 실시한 '2025년도 해양수산 국민인식조사' 결과 발표
다음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점심해(海) 프로젝트’ 시범운영 성공적으로 마무리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