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산물품질관리사 제도 활성화 방안 | |||
---|---|---|---|
구분 | 현안 2019-04 | 발간일 | 2019-08-31 |
공공누리 | 제 4유형 | 연구책임자 | 황규환 |
요약 | 조회수 | 1618 | |
전문 | |||
국민들의 먹거리 불안 문제가 근절되고 있지 않다. 먹거리를 배경으로 한 식중독 사고는 2002년 78건에서 2018년 363건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사고 유형도 다양해졌다. 문재인 정부는 먹거리 안전을 위해 ‘생활안전 강화’ 정책을 기반으로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수산정책은 수산물의 위생·안전 문제를 제고하기 위해 장비 지원이나 시설개선에 중점을 둔 반면, 인력(Humanware)의 양성과 활용에 대한 투자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의 위생·안전 문제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수산물품질관리사가 수산업 현장에 안정적 효과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
요 약 1 제1장 서 론 1 |
수산물품질관리사 제도 활성화 방안 | |||
---|---|---|---|
구분 | 현안 2019-04 | 발간일 | 2019-08-31 |
공공누리 | 제 4유형 | 연구책임자 | 황규환 |
요약 | 조회수 | 1618 | |
전문 | |||
국민들의 먹거리 불안 문제가 근절되고 있지 않다. 먹거리를 배경으로 한 식중독 사고는 2002년 78건에서 2018년 363건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사고 유형도 다양해졌다. 문재인 정부는 먹거리 안전을 위해 ‘생활안전 강화’ 정책을 기반으로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수산정책은 수산물의 위생·안전 문제를 제고하기 위해 장비 지원이나 시설개선에 중점을 둔 반면, 인력(Humanware)의 양성과 활용에 대한 투자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의 위생·안전 문제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수산물품질관리사가 수산업 현장에 안정적 효과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
요 약 1 제1장 서 론 1 |
이전글 | 항만지역 대기질 개선을 위한 데이터의 연계·활용방안 연구 |
다음글 | 해수욕장의 사회약자 포용성 증진 방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