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간계획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10) |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2020-11-20 |
권호 | 10 | 발행일 | 2020.10.31. |
저자 | Jacek Zaucha Kira Gee 외 | 조회수 | 1485 |
파일 | |||
01. 해양공간계획 연구와 정책 동향 02. 해양을 바라보는 관점 03. 아일랜드해의 생태계기반 관리와 해양공간계획: 도전과 기회 04. 체계적 보존계획: 생태학적·생물학적 중요해역(EBSA) 지정과 해양공간계획 수립의 개선 수단 05. 고전적 입지론의 해양공간 적용 가능성 06. 해양공간계획과 EU의 청색성장 정책: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07. 해양공간계획과 사회문학적 요소 08. 해양공간계획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09. 해양공간계획에서 정치와 권력 10. 해양공간계획과 이해관계자 참여 사다리 11. 해양공간계획과 육지-해양 상호작용 12. 연안통합관리와 해양공간계획의 연계: 지중해 사례 13. 이해관계자 참여의 이상과 현실: 유럽 대서양 사례 14.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시나리오 작성 15. 해양공간계획의 위험 관리 16. 해양공간계획에서 해양법의 역할 17. 국가관할권 이원해역과 해양공간계획 18. 해양공간계획의 평가 19. 해양공간계획 수립자를 위한 교육·훈련 |
해양공간계획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10) |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2020-11-20 |
권호 | 10 | 발행일 | 2020.10.31. |
저자 | Jacek Zaucha Kira Gee 외 | 조회수 | 1485 |
파일 | |||
01. 해양공간계획 연구와 정책 동향 02. 해양을 바라보는 관점 03. 아일랜드해의 생태계기반 관리와 해양공간계획: 도전과 기회 04. 체계적 보존계획: 생태학적·생물학적 중요해역(EBSA) 지정과 해양공간계획 수립의 개선 수단 05. 고전적 입지론의 해양공간 적용 가능성 06. 해양공간계획과 EU의 청색성장 정책: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07. 해양공간계획과 사회문학적 요소 08. 해양공간계획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09. 해양공간계획에서 정치와 권력 10. 해양공간계획과 이해관계자 참여 사다리 11. 해양공간계획과 육지-해양 상호작용 12. 연안통합관리와 해양공간계획의 연계: 지중해 사례 13. 이해관계자 참여의 이상과 현실: 유럽 대서양 사례 14.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시나리오 작성 15. 해양공간계획의 위험 관리 16. 해양공간계획에서 해양법의 역할 17. 국가관할권 이원해역과 해양공간계획 18. 해양공간계획의 평가 19. 해양공간계획 수립자를 위한 교육·훈련 |
이전글 | 한강하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9) |
다음글 | 남중국해: 아시아의 패권투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