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해양수산 전략리포트 |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2024-01-05 |
권호 | 5 | 발행일 | 2023-12-31 |
저자 | KMI 연구진 등 49명 | 조회수 | 1014 |
파일 | |||
발간사 축사 특별기고 I. 기후변화가 해양에 미치는 영향과 해양법의 과제 특별기고 II. 수산자원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기후변화와 IUU 어업의 영향 Ⅲ. 해운물류 동향과 이슈: 컨테이너를 중심으로 Ⅳ. 컨테이너 항만 전망과 전략적 고려 사항 1부. 해양 I. 해양경제 1. 해양치유자원 관리 이슈와 과제 45 2. 북방·북극 해양수산 이슈와 전망 58 II. 해양환경 1. 해양공간 이용의 전망과 과제 73 2. 해양관할구역 설정 이슈와 전망 86 3. 해양환경 ESG 활성화 이슈와 과제 99 III. 해양안보·협력 1. 동북아 해양안보 전망과 과제 112 2. 해양수산 ODA 이슈와 과제 124 2부. 수산·어촌 I. 수산물 생산 1. 수산 부문 전망과 과제 141 2. 연근해 생산 전망과 과제 155 3. 양식업 생산 전망과 과제 166 II. 수산식품·교역 1. 수산물 교역 전망과 과제 179 2. 수산 부문 노동규범 이슈와 과제 191 III. 어촌 1. 어촌 생활인구 진단과 전망 203 2. 어촌·어항 개발 투자 전망과 과제 220 3. 어촌·어업인 삶의 질 이슈와 과제 232 3부. 해운·항만 I. 해운 1. 컨테이너 해운시장 수급 전망과 과제 251 2. 선화주 상생 전망과 과제 261 3. 민간 선박금융 전망과 과제 272 II. 항만 1. 항만수요 전망과 과제 285 2. 친환경 항만 전망과 과제 305 3. 항만개발 투자 전망과 과제 322 III. 물류·해사 1. 해운·항만 연계 물류 이슈와 과제 341 2. 해사산업의 넷제로(Net-zero) 전략과 과제 355 3. 민관협력 물류인프라 투자 전망과 과제 365 |
2024 해양수산 전략리포트 |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2024-01-05 |
권호 | 5 | 발행일 | 2023-12-31 |
저자 | KMI 연구진 등 49명 | 조회수 | 1014 |
파일 | |||
발간사 축사 특별기고 I. 기후변화가 해양에 미치는 영향과 해양법의 과제 특별기고 II. 수산자원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기후변화와 IUU 어업의 영향 Ⅲ. 해운물류 동향과 이슈: 컨테이너를 중심으로 Ⅳ. 컨테이너 항만 전망과 전략적 고려 사항 1부. 해양 I. 해양경제 1. 해양치유자원 관리 이슈와 과제 45 2. 북방·북극 해양수산 이슈와 전망 58 II. 해양환경 1. 해양공간 이용의 전망과 과제 73 2. 해양관할구역 설정 이슈와 전망 86 3. 해양환경 ESG 활성화 이슈와 과제 99 III. 해양안보·협력 1. 동북아 해양안보 전망과 과제 112 2. 해양수산 ODA 이슈와 과제 124 2부. 수산·어촌 I. 수산물 생산 1. 수산 부문 전망과 과제 141 2. 연근해 생산 전망과 과제 155 3. 양식업 생산 전망과 과제 166 II. 수산식품·교역 1. 수산물 교역 전망과 과제 179 2. 수산 부문 노동규범 이슈와 과제 191 III. 어촌 1. 어촌 생활인구 진단과 전망 203 2. 어촌·어항 개발 투자 전망과 과제 220 3. 어촌·어업인 삶의 질 이슈와 과제 232 3부. 해운·항만 I. 해운 1. 컨테이너 해운시장 수급 전망과 과제 251 2. 선화주 상생 전망과 과제 261 3. 민간 선박금융 전망과 과제 272 II. 항만 1. 항만수요 전망과 과제 285 2. 친환경 항만 전망과 과제 305 3. 항만개발 투자 전망과 과제 322 III. 물류·해사 1. 해운·항만 연계 물류 이슈와 과제 341 2. 해사산업의 넷제로(Net-zero) 전략과 과제 355 3. 민관협력 물류인프라 투자 전망과 과제 365 |
이전글 | 2025 해양수산 전략리포트 |
다음글 | 2023 해양수산전략 리포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