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국문요약
□ 전복 산지가격, 사상 처음으로 kg당 2만 원대로 추락하여 지역경제에 큰 파장 □ 전복 시설량의 지속적 증가, 전복 가격 하락의 주된 원인 |
|
2012년에 6만7000~6만8000원(kg당 10마리)이었던 전복 산지가격이 2018년 4월 말에 2만8000~2만9000원까지 하락했습니다. 전복가격 하락의 주된 원인은 지난 10년간 해상가두리 시설의 지속적인 확대로 인해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전복 산지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전복 양식어가들의 소득이 크게 감소하여 생산비를 충당하지도 못하는 등 양식어가의 파산 사태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전복 양식업의 수익성 악화는 가격하락에서 비롯되었지만,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것도 큰 요인입니다. 전복 생존율이 낮아짐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식어가들은 양성기간을 단축시켜 생존율을 높였으나 오히려 큰 크기에 비해 수익이 낮은 작은 크기의 생산비중이 높아져 현재 수익성은 10여 년 전에 비해 악화되었다는 것 또한 중요한 문제입니다. 특히 4월은 전복 산지가격에 비해 소비자가격의 하락폭이 작아 가격하락으로 인한 수요 증대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전복 수요 증대를 위해 소비자들이 산지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 직거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으며, 수익성 개선을 위해 양식어가 이외에 전복 관련 종사자들이 폐사율을 줄일 수 있는 어장환경 개선, 종자개량 등 자구적인 노력으로 전복 양식업의 근본적인 혁신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함과 동시에 장기적인 발전계획을 세우고, 구조조정에 대한 세부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민관학계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시급히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