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국문요약
□ 제3차 동방경제포럼(EEF), 한‧일‧몽골 국가수반 및 50여 개국 4천 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 □ 한・러 양국은 9월 4일 16차 한・러 경제협력공동위원회 및 9월 6일 한・러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협력방안 논의 □ 경제협력 분야에서는 한・러 극동금융 이니셔티브 등 신설을 통해 러시아 극동개발의 재원조달 플랫폼을 구체화 □ 한・러 정상회담은 극동항만 개발 및 북극항로(NSR) 협력 등 해양수산 및 관련 사업 분야에서의 다양한 합의 도출 □ “수산물류가공 복합단지” 투자사업 의향서를 체결함으로써 수산・물류 분야의 가시적인 성과 기대 □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실현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 도출 □ 한・러 정상회담 성과의 가시화 방안으로 3항(부산항, 나진항,블라디 보스토크항)~3거점(훈춘, 나데즈딘스카야, 하바롭스크)~3통로(나진-훈춘, 나진-하산, 블라디보스토크-하바롭스크) 전략을 제안 □ 북방경제협력위원회를 단일 창구로 하여 북방시장 진출을 위한 세부사업 및 투자계획 수립 등 5개년 추진 로드맵 마련 필요 □ KMI 동향분석 |
|
이번주 동향분석 제46호가 '한러 정상회담, 북방경제 협력 기회 - '9 브릿지'를 해양수산 세부 전략으로 구체화할 필요-란 제호로 발간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