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목차 / 국문요약

목차 / 국문요약

□ 물류기업 중심의 기술수요와 R&D 사업화 요구가 높아져

 해외에서는 이미 수요중심의 물류기술 조사분석이 글로벌 물류기술 트렌드를 선도

□  물류기술 수요조사시스템은 62개 물류업종, 대표성을 가진 대․중․소 물류기업에 대해 조사 수행

□  2018년 물류기술 수요의 화두는 IoT 및 빅데이터를 적용한 콜드체인, 작업인력, 물류센터, 운송수단과 물류용기 기술로 압축

□  2017 물류기술수요 발굴을 통해 범부처 R&D 추진 기반 마련, 2018년 기획연구사업과 물류업계 정보제공 추진


우리나라의 국토교통 및 해양수산 R&D 중 물류기술 R&D가 차지하는 비중은 2% 정도에 불과하고, 그나마 기술공급자중심 개발, 하향식(Top-down) 과제 발굴, 공공기술개발에 치중함으로써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상품화는 미미한 실정입니다.


이에 KMI는 물류기업 및 화주를 대상으로 현장기반 애로기술을 조사하고 시급히 개발해야 할 기술들을 제시하고자 ‘2017년 물류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결과 2018년 화두로 떠오르는 물류산업 분야는 콜드체인, 3D작업인력, 물류센터, 운송수단, 물류용기 부문이었고, 물류기업들의 물류기술수요로는 콜드체인을 비롯하여 각 부문별로 4차 산업혁명 기술(IoT, 빅데이터 등)과 결합을 통한 물류 및 에너지비용 절감, 작업자 보호, 시설안전 및 보안사고 예방, 인건비 절감 기술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