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국문요약
□ 일본 정부, 독도가‘일본의 고유영토’라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상설 전시관 개관 □ 영토·주권 전시관 개설은 일본의‘독도 분쟁화 전략’에 따른 홍보 강화 정책의 일환 □ 일본의 대중 기반 홍보 방식과 차별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전문가 대상 홍보 방식 개발해야 □ 전문가 대상 홍보의 시발점은 중요 사료의 영문화 작업에서부터 시작해야 |
|
일본 정부는 1월 25일 도쿄 중심에 있는 히비야공원 시정회관(市政会館) 지하 1층에 약 100평방미터 크기의 ‘영토⋅주권전시관’을 개관했습니다. ‘영토⋅주권전시관’에서 상설 전시하고 있는 사료는 일본 정부의 영토주권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들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1667년), 「다케시마 도해 금지령」(1696년), 「조선국 교제 시말 내탐서」(1870년), 「태정관 지령 문서」(1877년) 등 일본에 불리한 사료는 일절 전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현재 일본은 독도 분쟁화 로드맵에 따라 국내외 홍보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총리실 직속의 영토·주권대책기획조정실이 중심이 되어 이와 같은 적극적인 영토주권 홍보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자국민과 초등학생 등 어린 세대들을 대상으로 독도 관련 홍보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이번 영토·주권 전시관 개관도 이러한 정책의 일환이자 넓게는 ‘독도 분쟁화 전략’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KMI 동향분석 제71호에서는 일본의 대중 기반 홍보 방식에 대응하여 우리나라가 새로운 유형의 홍보 방식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중요 사료의 영문화 작업을 통해 세계 주요 전문가 대상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