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수산 기술 공유로 한-중남미 협력 강화한다 | |||
---|---|---|---|
담당부서 | 수산연구본부 | 보도일 | 2025-06-26 |
파일 | |||
K-수산 기술 공유로 한-중남미 협력 강화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25년 중남미 어업인 역량강화 사업’성공적 마무리- -스마트양식·수산재해 대응·어촌활성화 등 지속가능한 수산업 발전 지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페루 까야오 국립대학교와 협력해 ‘2025년 중남미 어업인 역량강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6월 24일부터 3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올해로 6회차를 맞이한 이번 교육은 기후변화 및 해양환경 변화 등 공통의 위협에 직면한 중남미 국가들의 지속 가능한 수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본 사업이 한국의 선진 수산 기술과 정책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양 지역 간 우호적인 협력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를 거듭할수록 참여 규모가 확대되고 논의의 수준 또한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올해 교육에는 페루, 베네수엘라, 멕시코, 에콰도르 등 26개국 1,400여 명의 어업인, 공무원, 연구자, 기업인 등이 참여하여 한국의 선진 수산 기술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3일간 진행된 교육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양식업 발전 전략과 스마트양식 기술 ▲글로벌 해조류 산업 동향과 미래 과제 ▲수산재해·질병 피해 예방 ▲어촌뉴딜 300 등 한국의 선진 기술과 정책 경험을 담은 다양한 사례가 소개되었으며, 과정을 수료한 모든 참가자에게는 수료증을 수여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페루 측 관계자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한국 전문가들과 직접 소통하며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올해로 6회차를 맞은 역량강화 사업은 이제 명실상부한 한-중남미 대표 수산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밝히며 “오는 9월 페루에서 열리는 ‘한-중남미 수산포럼'을 통해 양 지역 간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
K-수산 기술 공유로 한-중남미 협력 강화한다 | |||
---|---|---|---|
담당부서 | 수산연구본부 | 보도일 | 2025-06-26 |
파일 | |||
K-수산 기술 공유로 한-중남미 협력 강화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25년 중남미 어업인 역량강화 사업’성공적 마무리- -스마트양식·수산재해 대응·어촌활성화 등 지속가능한 수산업 발전 지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페루 까야오 국립대학교와 협력해 ‘2025년 중남미 어업인 역량강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6월 24일부터 3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올해로 6회차를 맞이한 이번 교육은 기후변화 및 해양환경 변화 등 공통의 위협에 직면한 중남미 국가들의 지속 가능한 수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본 사업이 한국의 선진 수산 기술과 정책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양 지역 간 우호적인 협력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를 거듭할수록 참여 규모가 확대되고 논의의 수준 또한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올해 교육에는 페루, 베네수엘라, 멕시코, 에콰도르 등 26개국 1,400여 명의 어업인, 공무원, 연구자, 기업인 등이 참여하여 한국의 선진 수산 기술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3일간 진행된 교육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양식업 발전 전략과 스마트양식 기술 ▲글로벌 해조류 산업 동향과 미래 과제 ▲수산재해·질병 피해 예방 ▲어촌뉴딜 300 등 한국의 선진 기술과 정책 경험을 담은 다양한 사례가 소개되었으며, 과정을 수료한 모든 참가자에게는 수료증을 수여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페루 측 관계자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한국 전문가들과 직접 소통하며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올해로 6회차를 맞은 역량강화 사업은 이제 명실상부한 한-중남미 대표 수산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밝히며 “오는 9월 페루에서 열리는 ‘한-중남미 수산포럼'을 통해 양 지역 간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
이전글 | 어촌지역 인구감소 및 경제위축 대응 정책방향 제시 |
다음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아프리카 수산 식량안보 실현을 위한 국제 세미나’ 성황리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