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NeLT 2011 오스트리아 국제세미나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1-08-23
파일
새로운 국부창출을 위한 물류기술 산업의 도전
8월 26일(목)~27(금), 미래물류기술포럼 오스트리아 국제워크숍 개최


□ 국내 물류기술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는 미래물류기술포럼(NeLT)의 오스트리아 국제 세미나가 2011년 8월 26일(목)~27(금)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개최된다.

□ 이번 국제 세미나는 미래물류기술포럼(의장 김성진, 김인세)이 주최하고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 B&R이 후원하고 있으며, 본 포럼의 운영을 맡고 있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학소)을 비롯한 한국교통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부산대학교․한경대학교․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의 공동 주관으로 개최된다.

□ 본 세미나에서는 8월 27일(목)에 ‘한-오스트리아 물류자동화 현황과 전망’이란 주제로 오스트리아의 대표 물류자동화 기술업체인 B&R사와 자동화 시스템 제공업체인 TGW에서 ‘자동화 및 물류기술’, ‘물류 자동화 기술의 최신 트랜드’ 등 유럽지역의 자동화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물류기술연구실장은 ‘한국의 자동화 항만물류기스템 트랜드와 최신기술’, 권용장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가물류표준화연구단장은 ‘한국의 물류표준화’, 박장환 한경대학교 교수는 ‘물류센터에서의 에너지 절감’ 등의 주제로 한국의 자동화 기술을 전파할 예정이다.

□ 이와 더불어 8월 28일(금)에는 ‘한-오스트리아 협력방안’이란 주제로 물류자동화 기술과 OpenSAFETY에 관한 협력방안, 철도기술에 관한 협력방안 등 한-오스트리아 양국간 물류분야 협력방안에 대한 워크숍을 개최할 예정이다. 

□ 특히 본 세미나는 물류자동화 기술의 선진국인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되는 물류기술분야 최초의 한-오스트리아 공동주최 국제행사로 유럽의 자동화 물류기술과 한-오스트리아간의 물류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뜻 깊은 장이 될 것이다. <끝>
보도자료 상세보기
NeLT 2011 오스트리아 국제세미나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1-08-23
파일
새로운 국부창출을 위한 물류기술 산업의 도전
8월 26일(목)~27(금), 미래물류기술포럼 오스트리아 국제워크숍 개최


□ 국내 물류기술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는 미래물류기술포럼(NeLT)의 오스트리아 국제 세미나가 2011년 8월 26일(목)~27(금)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개최된다.

□ 이번 국제 세미나는 미래물류기술포럼(의장 김성진, 김인세)이 주최하고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 B&R이 후원하고 있으며, 본 포럼의 운영을 맡고 있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학소)을 비롯한 한국교통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부산대학교․한경대학교․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의 공동 주관으로 개최된다.

□ 본 세미나에서는 8월 27일(목)에 ‘한-오스트리아 물류자동화 현황과 전망’이란 주제로 오스트리아의 대표 물류자동화 기술업체인 B&R사와 자동화 시스템 제공업체인 TGW에서 ‘자동화 및 물류기술’, ‘물류 자동화 기술의 최신 트랜드’ 등 유럽지역의 자동화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물류기술연구실장은 ‘한국의 자동화 항만물류기스템 트랜드와 최신기술’, 권용장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가물류표준화연구단장은 ‘한국의 물류표준화’, 박장환 한경대학교 교수는 ‘물류센터에서의 에너지 절감’ 등의 주제로 한국의 자동화 기술을 전파할 예정이다.

□ 이와 더불어 8월 28일(금)에는 ‘한-오스트리아 협력방안’이란 주제로 물류자동화 기술과 OpenSAFETY에 관한 협력방안, 철도기술에 관한 협력방안 등 한-오스트리아 양국간 물류분야 협력방안에 대한 워크숍을 개최할 예정이다. 

□ 특히 본 세미나는 물류자동화 기술의 선진국인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되는 물류기술분야 최초의 한-오스트리아 공동주최 국제행사로 유럽의 자동화 물류기술과 한-오스트리아간의 물류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뜻 깊은 장이 될 것이다. <끝>
이전글 새로운 국부창출을 위한 물류기술 산업의 도전
다음글 KMI 수산물생산자가격지수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