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산업 부국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5) |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2020-08-11 |
권호 | 5 | 발행일 | 2017.01.30 |
저자 | 김학소 | 조회수 | 891 |
파일 | |||
제1장 해양의 중요성과 가치 1. 해양과 인류의 역사
1. 해양산업의 정의 및 분류 2. 해양산업의 현황 규모 3. 해양산업의 잠재력 및 위상 제3장 글로벌 해양산업의 성장요인과 전망 1. 글로벌 해양산업의 성장 요인 2.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 2) 북극의 해빙은 신규 기회 제공 3. 육상자원의 고갈에 따른 기존 자원 수요의 변화 4. 해양관할권 영토분쟁의 심화 5. 장래 해양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칠 실현 가능한 요인 제4장 주요국의 해양산업 정책과 산업 동향 1.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 4) 유럽연합 (EU)
제5장 우리나라해양산업의 현황과 전망 1. 우리나라의 해양산업 여건
3. 우리나라 해양산업의 분야별 문제점 제6장 해양강국실현을 위한 해양산업의 비전과 과제 1. 해양강대국 건설을 위한 해양산업의 비전
2) 글로벌 해양강국의 실현
3) 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제7장 해운산업의 비전과 과제 1. 해운산업의 정의 및 의의
제8장 조선산업의 비젼과 한계 1. 조선산업의 개요 2. 세계 조선시장의 동향과 전망
제9장 항만산업의 비전과 과제 1. 항만산업의 정의 및 의의
1) 세계 항만산업의 전망 제10장 물류산업의 비전과 과제 1. 물류산업의 정의 및 의의
제11장 수산업의 비전과 과제 1. 수산업의 정의 및 의의
1) 생산동향
제 12장 해양신산업의 비전과 과제 1. 해양신산업의 개요
5. 해양생명공학 사업 (Marine Biotechnology)
|
해양산업 부국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5) |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2020-08-11 |
권호 | 5 | 발행일 | 2017.01.30 |
저자 | 김학소 | 조회수 | 891 |
파일 | |||
제1장 해양의 중요성과 가치 1. 해양과 인류의 역사
1. 해양산업의 정의 및 분류 2. 해양산업의 현황 규모 3. 해양산업의 잠재력 및 위상 제3장 글로벌 해양산업의 성장요인과 전망 1. 글로벌 해양산업의 성장 요인 2.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 2) 북극의 해빙은 신규 기회 제공 3. 육상자원의 고갈에 따른 기존 자원 수요의 변화 4. 해양관할권 영토분쟁의 심화 5. 장래 해양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칠 실현 가능한 요인 제4장 주요국의 해양산업 정책과 산업 동향 1.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 4) 유럽연합 (EU)
제5장 우리나라해양산업의 현황과 전망 1. 우리나라의 해양산업 여건
3. 우리나라 해양산업의 분야별 문제점 제6장 해양강국실현을 위한 해양산업의 비전과 과제 1. 해양강대국 건설을 위한 해양산업의 비전
2) 글로벌 해양강국의 실현
3) 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제7장 해운산업의 비전과 과제 1. 해운산업의 정의 및 의의
제8장 조선산업의 비젼과 한계 1. 조선산업의 개요 2. 세계 조선시장의 동향과 전망
제9장 항만산업의 비전과 과제 1. 항만산업의 정의 및 의의
1) 세계 항만산업의 전망 제10장 물류산업의 비전과 과제 1. 물류산업의 정의 및 의의
제11장 수산업의 비전과 과제 1. 수산업의 정의 및 의의
1) 생산동향
제 12장 해양신산업의 비전과 과제 1. 해양신산업의 개요
5. 해양생명공학 사업 (Marine Biotechnology)
|
이전글 | KOREA’S OCEAN POLICY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4) |
다음글 | 연안관리정책의 회고와 전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