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수산 분야 글로벌 환경 변화 대응 및 경쟁력 제고 방안 논의
담당부서 수산정책사업본부 보도일 2022-12-15
파일

수산 분야 글로벌 환경 변화 대응 및 경쟁력 제고 방안 논의

- KMI, 2022년 수산정책사업본부 성과보고 세미나 개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12월 14일(수) 부산역 아스티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수산정책사업본부 성과보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리스크 대응을 위한 수산 정보 공유 및 산·학·연·정 소통공간 마련’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조정희 KMI 경영 부원장, 조병열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과 서기관을 비롯해 김대영 KMI 수산정책사업본부장, 김영목 부경대학교 교수, 박병언 ㈜아이씨 인터네셔널 대표, 권용범 희창물산 부사장, 노우탁 한국수산신문 부국장 등 다수의 내빈이 참석했다.


먼저 △이남수 KMI 수산업관측센터장의 ‘수산정책사업본부 중장기 발전방안’ △허수진 KMI 소비관측전망팀장의 ‘소비관측을 통해 본 수산물 소비특성’ △한기욱 KMI 해외시장동향·전망팀장의 ‘글로벌 수산식품 변화와 우리나라 수산식품 수출 전략' △박혜진 KMI 전문연구원의 ’키워드로 살펴보는 수입수산물 동향‘ 등 4개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주제발표에서는 △수산물 수급전망모형 고도화 및 전주기 수산물 수급 관리체계 확립 △정기적·정량적 수산물 소비동향 데이터 수집의 필요성 △고도의 식품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수요자 맞춤형 제품 개발 노력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수입선 대체, 소비 다변화를 비롯한 대응책 마련 등이 강조되었다. 


이어서 전문가 토론은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리스크 대응 및 수산분야 경쟁력 제고방안’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좌장인 김대영 KMI 수산정책사업본부장을 포함하여 해양수산부, 관련 기관, 업계, 학계 등 6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토론에서는 수산업계의 애로사항을 비롯하여 글로벌 수산식품 이슈, 향후 수산식품산업 발전방안 등이 논의되었으며, 수산업 현장과의 소통을 위한 수산정책사업본부 역할도 짚어보았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수산 분야 글로벌 환경 변화 대응 및 경쟁력 제고 방안 논의
담당부서 수산정책사업본부 보도일 2022-12-15
파일

수산 분야 글로벌 환경 변화 대응 및 경쟁력 제고 방안 논의

- KMI, 2022년 수산정책사업본부 성과보고 세미나 개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12월 14일(수) 부산역 아스티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수산정책사업본부 성과보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리스크 대응을 위한 수산 정보 공유 및 산·학·연·정 소통공간 마련’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조정희 KMI 경영 부원장, 조병열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과 서기관을 비롯해 김대영 KMI 수산정책사업본부장, 김영목 부경대학교 교수, 박병언 ㈜아이씨 인터네셔널 대표, 권용범 희창물산 부사장, 노우탁 한국수산신문 부국장 등 다수의 내빈이 참석했다.


먼저 △이남수 KMI 수산업관측센터장의 ‘수산정책사업본부 중장기 발전방안’ △허수진 KMI 소비관측전망팀장의 ‘소비관측을 통해 본 수산물 소비특성’ △한기욱 KMI 해외시장동향·전망팀장의 ‘글로벌 수산식품 변화와 우리나라 수산식품 수출 전략' △박혜진 KMI 전문연구원의 ’키워드로 살펴보는 수입수산물 동향‘ 등 4개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주제발표에서는 △수산물 수급전망모형 고도화 및 전주기 수산물 수급 관리체계 확립 △정기적·정량적 수산물 소비동향 데이터 수집의 필요성 △고도의 식품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수요자 맞춤형 제품 개발 노력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수입선 대체, 소비 다변화를 비롯한 대응책 마련 등이 강조되었다. 


이어서 전문가 토론은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리스크 대응 및 수산분야 경쟁력 제고방안’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좌장인 김대영 KMI 수산정책사업본부장을 포함하여 해양수산부, 관련 기관, 업계, 학계 등 6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토론에서는 수산업계의 애로사항을 비롯하여 글로벌 수산식품 이슈, 향후 수산식품산업 발전방안 등이 논의되었으며, 수산업 현장과의 소통을 위한 수산정책사업본부 역할도 짚어보았다. 


이전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2년 하반기 KMI 자문위원회 개최
다음글 중국 20차 당대회 이후 경제정책 방향 및 국제물류 디지털화 대응 모색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