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3년도 일반연구과제 연구 착수 | |||
---|---|---|---|
담당부서 | 연구기획관리실 | 보도일 | 2023-03-16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3년도 일반연구과제 연구 착수 - 일반연구 통해 이론적 기초연구와 현장문제 해결형 연구 수행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종덕, 이하 KMI)은 기관 자체연구로 추진하는 2023년도 일반연구 15개 과제를 선정했다. 일반연구는 일반사업(연구지원사업 등 포함)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연구를 과제 형태로 추진하는 것으로, 해당 연구과제가 포함되어 있는 일반사업 예산의 일부를 활용하여 수행된다.
2023년도 일반연구과제는 KMI 연구심의위원회에서 1월 4일(수)과 2월 21일(화) 2차례로 나뉘어 선정되었다(1차: 20개 제안 중 12개 선정, 2차: 6개 제안 중 3개 선정). 선정된 총 15개의 일반연구과제는 9개의 정책연구 과제와 6개의 기초연구 과제로 구성되었다. 기초연구는 현실에서 당장 활용할 수 있는 연구보다 장기적‧이론적 성격의 주제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과제라 할 수 있으며, 정책연구는 해양수산 분야의 정책적‧산업적 현안 연구를 통해 현장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2023년 KMI 일반연구는 해양수산업 조기경보 시스템, 수산물 공급 안정화 및 수산식품 소비 활성화, 북극해 공해상 어업 관련 국제협정, 해운기업의 ESG 경영, 선박금융 활성화, 해운경기 예측모형, 항만산업의 여성인력 활용, 선박대기비용 절감,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분석, 해양 탄소중립 과학기술 협력, 해양 지속가능성 평가 등 다양한 해양수산 분야 중요 연구주제들에 대한 사회과학적인 장‧단기적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KMI 김종덕 원장은 “과거 일반연구는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점차 정책연구의 비중을 높이고 있으며, 특히 올해부터는 현장에서 발굴한 연구주제를 우선적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고 강조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여 향후 KMI 연구자들이 직접적인 현장 방문과 적극적 현안 발굴을 통해 문제해결형 일반연구 주제를 더욱 활발히 제안”해 줄 것을 주문하였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3년도 일반연구과제 연구 착수 | |||
---|---|---|---|
담당부서 | 연구기획관리실 | 보도일 | 2023-03-16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3년도 일반연구과제 연구 착수 - 일반연구 통해 이론적 기초연구와 현장문제 해결형 연구 수행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종덕, 이하 KMI)은 기관 자체연구로 추진하는 2023년도 일반연구 15개 과제를 선정했다. 일반연구는 일반사업(연구지원사업 등 포함)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연구를 과제 형태로 추진하는 것으로, 해당 연구과제가 포함되어 있는 일반사업 예산의 일부를 활용하여 수행된다.
2023년도 일반연구과제는 KMI 연구심의위원회에서 1월 4일(수)과 2월 21일(화) 2차례로 나뉘어 선정되었다(1차: 20개 제안 중 12개 선정, 2차: 6개 제안 중 3개 선정). 선정된 총 15개의 일반연구과제는 9개의 정책연구 과제와 6개의 기초연구 과제로 구성되었다. 기초연구는 현실에서 당장 활용할 수 있는 연구보다 장기적‧이론적 성격의 주제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과제라 할 수 있으며, 정책연구는 해양수산 분야의 정책적‧산업적 현안 연구를 통해 현장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2023년 KMI 일반연구는 해양수산업 조기경보 시스템, 수산물 공급 안정화 및 수산식품 소비 활성화, 북극해 공해상 어업 관련 국제협정, 해운기업의 ESG 경영, 선박금융 활성화, 해운경기 예측모형, 항만산업의 여성인력 활용, 선박대기비용 절감,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분석, 해양 탄소중립 과학기술 협력, 해양 지속가능성 평가 등 다양한 해양수산 분야 중요 연구주제들에 대한 사회과학적인 장‧단기적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KMI 김종덕 원장은 “과거 일반연구는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점차 정책연구의 비중을 높이고 있으며, 특히 올해부터는 현장에서 발굴한 연구주제를 우선적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고 강조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여 향후 KMI 연구자들이 직접적인 현장 방문과 적극적 현안 발굴을 통해 문제해결형 일반연구 주제를 더욱 활발히 제안”해 줄 것을 주문하였다. |
이전글 | KMI, 국회미래연구원과 업무협약(MOU) 체결, 공동세미나 개최 |
---|---|
다음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월 14일 해상풍력 정책포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