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KMI, 「2022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결과 발표
담당부서 힝만수요예측센터 보도일 2023-03-28
파일

KMI, 「2022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결과 발표

 - 국내 선석생산성 전년 대비 회복세, 경쟁력 확보 대책 수립 필요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전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서비스 지표를 보여주는 「2022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를 발표했다. 

 

  KMI는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의 주요 서비스 지표의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국내 컨테이너 경쟁력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2021년 4분기부터 매 분기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를 발간하고 있으며 연 1회 연간 기준으로도 발표하고 있다. 


  2022년 전체 선형 기준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62.9회/hr로 3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2022년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등으로 대외 불안이 지속되면서 북아시아(76.4회/hr, -2.8%), 중동·아프리카(62,6회/hr, -4.9%), 북미동안·걸프(55.4회/hr, -6.3%), 북유럽(52.2회/hr, -2.4%), 지중해(51.6회/hr, -0.7%)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선석생산성이 하락했다. 다만 북미서안(46.2회/hr, +9.5%)의 경우 2021년 말 심각한 항만 적체가 점차 해소되면서 선석생산성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전체 선형 기준 우리나라는 전 세계 11위로 73.9회/hr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초대형 선형(8,000TEU급 이상) 기준 선석생산성 역시 우리나라가 전년 대비 2.8% 증가한 85.0회/hr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5계단 상승한 16위를 기록하여 상위 20위권 안으로 재진입했다. 선석생산성 상위 국가의 경우에는 오만(111.6회/hr, 1위), UAE(98.1회/hr, 2위) 등 중동 지역이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전체 선형 기준 86.0회/hr로 전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항만별 선석생산성은 전체 선형 기준 국내 부산항이 75.5회/hr로 전년 대비 3.6% 증가하여 전 세계 26위를 기록하였으나 광양항(63.9회/hr, -2.9%)과 인천항(57.8회/hr, -5.9%)은 전년 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 글로벌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싱가포르항(+81.3회/hr, +4.3%), LA항(50.7회/hr, +12.0%), LB항(72.1회/hr, +19.0%), 탄중펠레파스항(84.5회/hr, +6.5%) 등이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으며, 중국의 주요 컨테이너 항만인 상하이항(103.9회/hr, -4.0%), 닝보항(84.7회/hr, -9.1%), 톈진항(86.3회/hr, -12.6%) 등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KMI 항만수요예측센터는 “2022년 국내 항만의 컨테이너 선석생산성이 글로벌 물류 여건 개선으로 전년 대비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2018년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서비스 수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 고 밝혔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KMI, 「2022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결과 발표
담당부서 힝만수요예측센터 보도일 2023-03-28
파일

KMI, 「2022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결과 발표

 - 국내 선석생산성 전년 대비 회복세, 경쟁력 확보 대책 수립 필요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전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서비스 지표를 보여주는 「2022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를 발표했다. 

 

  KMI는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의 주요 서비스 지표의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국내 컨테이너 경쟁력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2021년 4분기부터 매 분기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를 발간하고 있으며 연 1회 연간 기준으로도 발표하고 있다. 


  2022년 전체 선형 기준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62.9회/hr로 3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2022년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등으로 대외 불안이 지속되면서 북아시아(76.4회/hr, -2.8%), 중동·아프리카(62,6회/hr, -4.9%), 북미동안·걸프(55.4회/hr, -6.3%), 북유럽(52.2회/hr, -2.4%), 지중해(51.6회/hr, -0.7%)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선석생산성이 하락했다. 다만 북미서안(46.2회/hr, +9.5%)의 경우 2021년 말 심각한 항만 적체가 점차 해소되면서 선석생산성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전체 선형 기준 우리나라는 전 세계 11위로 73.9회/hr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초대형 선형(8,000TEU급 이상) 기준 선석생산성 역시 우리나라가 전년 대비 2.8% 증가한 85.0회/hr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5계단 상승한 16위를 기록하여 상위 20위권 안으로 재진입했다. 선석생산성 상위 국가의 경우에는 오만(111.6회/hr, 1위), UAE(98.1회/hr, 2위) 등 중동 지역이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전체 선형 기준 86.0회/hr로 전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항만별 선석생산성은 전체 선형 기준 국내 부산항이 75.5회/hr로 전년 대비 3.6% 증가하여 전 세계 26위를 기록하였으나 광양항(63.9회/hr, -2.9%)과 인천항(57.8회/hr, -5.9%)은 전년 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 글로벌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싱가포르항(+81.3회/hr, +4.3%), LA항(50.7회/hr, +12.0%), LB항(72.1회/hr, +19.0%), 탄중펠레파스항(84.5회/hr, +6.5%) 등이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으며, 중국의 주요 컨테이너 항만인 상하이항(103.9회/hr, -4.0%), 닝보항(84.7회/hr, -9.1%), 톈진항(86.3회/hr, -12.6%) 등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KMI 항만수요예측센터는 “2022년 국내 항만의 컨테이너 선석생산성이 글로벌 물류 여건 개선으로 전년 대비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2018년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서비스 수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 고 밝혔다.





이전글 KMI, 해운 CEO들과 ‘해운산업의 도전과 과제’에 대해 논의
다음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종덕 원장, 「#ENDviolence 캠페인」 동참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