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 발표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5-10-01
파일


KMI 해외시장정보팀,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발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성귀, 이하 KMI) 해외시장정보팀이 세계 최대 수산물 수입국인 일본을 대상으로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을 배포한다고 1일 밝혔다.
- 이는 해외시장정보팀의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의 두 번째 정보지로, 해외시장정보팀에서는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Mini Report-』를 통해 세계 주요국의 수산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 이번에 발표한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은 최신 일본의 수산물 교역 동향을 일본 통계에 기반하여 분석했다.
- 세계 제1위 수산물 수입국인 일본의 2014년 수산물 수입액은 1조 6,580억 엔으로 2000년(1조 7,224억 엔) 대비 소폭 감소했다.
- 이에 반해 수산물 수출은 2000년 이후 지속적 증가세를 보였지만, 수산물 수입이 수출의 약 10배로 연간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조 엔 이상 유지되고 있다.
- 일본은 주로 중국, 칠레, 미국 등으로부터 새우, 다랑어, 연어 등을 수입하고 있으며, 최근 새우와 연어의 수입은 증가했으며, 다랑어 수입은 감소했다.
- 한국은 일본의 제7위 수입대상국으로 일본은 한국에서 주로 다랑어(피레트), 냉동 눈다랑어, 전복(활, 신선냉장), 넙치(활어), 조미김 등을 수입하고 있다. 특히, 전복(활, 신선냉장), 넙치(활어), 조미김의 경우 일본 전체 수입량에서 한국산의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한다. 
- 한편, 일본의 주 수출 대상국은 홍콩, 미국, 중국 등(한국 제7위 수출대상국)으로, 주로 가리비, 고등어, 해삼 등을 수출하고 있다.

□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홈페이지(http://fta.kmi.re.kr) 또는, 전화 (1644-411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 발표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5-10-01
파일


KMI 해외시장정보팀,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발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성귀, 이하 KMI) 해외시장정보팀이 세계 최대 수산물 수입국인 일본을 대상으로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을 배포한다고 1일 밝혔다.
- 이는 해외시장정보팀의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의 두 번째 정보지로, 해외시장정보팀에서는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Mini Report-』를 통해 세계 주요국의 수산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 이번에 발표한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은 최신 일본의 수산물 교역 동향을 일본 통계에 기반하여 분석했다.
- 세계 제1위 수산물 수입국인 일본의 2014년 수산물 수입액은 1조 6,580억 엔으로 2000년(1조 7,224억 엔) 대비 소폭 감소했다.
- 이에 반해 수산물 수출은 2000년 이후 지속적 증가세를 보였지만, 수산물 수입이 수출의 약 10배로 연간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조 엔 이상 유지되고 있다.
- 일본은 주로 중국, 칠레, 미국 등으로부터 새우, 다랑어, 연어 등을 수입하고 있으며, 최근 새우와 연어의 수입은 증가했으며, 다랑어 수입은 감소했다.
- 한국은 일본의 제7위 수입대상국으로 일본은 한국에서 주로 다랑어(피레트), 냉동 눈다랑어, 전복(활, 신선냉장), 넙치(활어), 조미김 등을 수입하고 있다. 특히, 전복(활, 신선냉장), 넙치(활어), 조미김의 경우 일본 전체 수입량에서 한국산의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한다. 
- 한편, 일본의 주 수출 대상국은 홍콩, 미국, 중국 등(한국 제7위 수출대상국)으로, 주로 가리비, 고등어, 해삼 등을 수출하고 있다.

□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홈페이지(http://fta.kmi.re.kr) 또는, 전화 (1644-411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전글 KMI 중국수산동향 제4호 발간
다음글 FTA 국가의 수산물 HS코드 및 관세율 정보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