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해양수산 지역발전을 위한 현장밀착형 혁신 아이디어 발굴과 공유에 나서 | |||
---|---|---|---|
담당부서 | 지역균형·관광연구실 | 보도일 | 2021-10-29 |
파일 | |||
KMI, 해양수산 지역발전을 위한 현장밀착형 혁신 아이디어 발굴과 공유에 나서
- 『2021 KMI Sea-Grant 지역발전 논문 최종발표회』개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직무대행 김종덕)은 지난 10월 28일(목) 오후 1시 부산 영도에 있는 복합문화공간 피아크(P.ark)에서 「2021 KMI Sea-Grant 지역발전 논문 최종발표회」를 열었다. KMI Sea-Grant 지역발전 논문공모사업(이하 KMI Sea-Grant 사업)은 해양수산 지역발전을 위한 독창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의 발굴과 공유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매년 3월 산학연 및 시민사회 대상 공모에서 선정된 연구를 6개월 동안 지원하는 사업이다. 연구 제안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는 3월 2일부터 3월 30일까지 63개 연구제안서를 접수하여, KMI Sea-Grant 평가․선정위원회를 통해 12개 연구를 선정했다. * KMI Sea-Grant 연구제안서 접수현황: 33건(’18년)→42건(’19년)→59건(’20년)→63건(’21년) 이번 최종발표회에서는 ▲연안여객항로의 효율화 ▲연안여객선의 실내 디자인과 여객터미널의 보행환경 개선 ▲해양레저산업 관련 청장년층의 귀어․귀촌 방안 ▲섬 친환경 관광행동의 현장실험 ▲다기능어항과 배후어촌의 공간구조 분석 ▲해기인력의 성불평등 ▲해상풍력발전의 국민 수용성 등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었고, 연구성과의 상호 연계방안 등에 대한 연구책임자와 심사위원 간 적극토론이 이어졌다. KMI는 연구목적의 달성도, 연구 방법의 적합성, 연구 결과 활용도 등을 기준으로 올해의 우수논문을 2편 선정했다. 우수논문상은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다기능 어항 및 배후어촌의 공간구조분석」(서울대 환경대학원/㈜혜인이엔씨 변준식), 「섬 관광객의 자발적 친환경 행동에 관한 현장실험 연구」(세종대학교 관광혁신연구소 장재협)」가 수상했다. KMI 최지연 지역균형·관광연구실장은 “이번 최종발표회에서 연구책임자들이 제안한 참신하고 창의적인 연구성과를 연계․융합하여 해양수산 지역발전 정책화 과정에 적극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KMI와 공동연구로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연안 중소도시, 어촌, 섬 등의 실체적 현안 발굴과 현장맞춤형 연구를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내년 KMI Sea-Grant 사업에서도 연안․해양 지역의 현안 발굴과 해양수산 지역발전 정책에 활용 가능한 참신하고 풍부한 연구가 제안되길 바란다.”고 하였다.
|
KMI, 해양수산 지역발전을 위한 현장밀착형 혁신 아이디어 발굴과 공유에 나서 | |||
---|---|---|---|
담당부서 | 지역균형·관광연구실 | 보도일 | 2021-10-29 |
파일 | |||
KMI, 해양수산 지역발전을 위한 현장밀착형 혁신 아이디어 발굴과 공유에 나서
- 『2021 KMI Sea-Grant 지역발전 논문 최종발표회』개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직무대행 김종덕)은 지난 10월 28일(목) 오후 1시 부산 영도에 있는 복합문화공간 피아크(P.ark)에서 「2021 KMI Sea-Grant 지역발전 논문 최종발표회」를 열었다. KMI Sea-Grant 지역발전 논문공모사업(이하 KMI Sea-Grant 사업)은 해양수산 지역발전을 위한 독창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의 발굴과 공유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매년 3월 산학연 및 시민사회 대상 공모에서 선정된 연구를 6개월 동안 지원하는 사업이다. 연구 제안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는 3월 2일부터 3월 30일까지 63개 연구제안서를 접수하여, KMI Sea-Grant 평가․선정위원회를 통해 12개 연구를 선정했다. * KMI Sea-Grant 연구제안서 접수현황: 33건(’18년)→42건(’19년)→59건(’20년)→63건(’21년) 이번 최종발표회에서는 ▲연안여객항로의 효율화 ▲연안여객선의 실내 디자인과 여객터미널의 보행환경 개선 ▲해양레저산업 관련 청장년층의 귀어․귀촌 방안 ▲섬 친환경 관광행동의 현장실험 ▲다기능어항과 배후어촌의 공간구조 분석 ▲해기인력의 성불평등 ▲해상풍력발전의 국민 수용성 등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었고, 연구성과의 상호 연계방안 등에 대한 연구책임자와 심사위원 간 적극토론이 이어졌다. KMI는 연구목적의 달성도, 연구 방법의 적합성, 연구 결과 활용도 등을 기준으로 올해의 우수논문을 2편 선정했다. 우수논문상은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다기능 어항 및 배후어촌의 공간구조분석」(서울대 환경대학원/㈜혜인이엔씨 변준식), 「섬 관광객의 자발적 친환경 행동에 관한 현장실험 연구」(세종대학교 관광혁신연구소 장재협)」가 수상했다. KMI 최지연 지역균형·관광연구실장은 “이번 최종발표회에서 연구책임자들이 제안한 참신하고 창의적인 연구성과를 연계․융합하여 해양수산 지역발전 정책화 과정에 적극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KMI와 공동연구로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연안 중소도시, 어촌, 섬 등의 실체적 현안 발굴과 현장맞춤형 연구를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내년 KMI Sea-Grant 사업에서도 연안․해양 지역의 현안 발굴과 해양수산 지역발전 정책에 활용 가능한 참신하고 풍부한 연구가 제안되길 바란다.”고 하였다.
|
이전글 | '한강하구 - 평화, 생명, 공영의 물길' 책 발간 눈길 |
---|---|
다음글 | KMI, 러 상트페테르부르크대와 MOU 체결로 한-러 북극 연구협력 기반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