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연구정보연구보고서사업보고서

사업보고서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 표시 필요, 사업적 이용 불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2 해양수산업 분석 보고서 - 2018~2019년 산업연관표 기준 - 상세보기
2022 해양수산업 분석 보고서 - 2018~2019년 산업연관표 기준 -
구분 일반사업 2022-01-01 발간일 2023-02-28
공공누리 제 4유형 연구책임자 장정인
파일

요약_ⅰ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3

2. 연구 방법 5

3. 연구의 차별성 6


제2장 해양수산업 중심의 산업연관표 작성 9

제1절 작성 체계 9

1. 산업의 정의 및 분류 10

2. 해양수산업 중심 산업연관표 작성 기본 전제 14

3. 해양수산업 중심 산업연관표 작성 단계 15

제2절 해양수산업 비중 산출 16

1. 해양수산업 비중 산출 개요 16

2. 해양수산업 부문별 산출 결과 19

제3절 해양수산업 중심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 56

1. 해양수산업 규모 및 국민경제적 위상 56

2. 국내 선행연구와 비교 78

3. 세계 해양국과 비교 81


제3장 해양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85

제1절 분석 모형 85

1. 분석 개요 85

2. 분석 모형 87

제2절 해양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96

1. 생산유발효과 102

2. 부가가치 유발효과 105

3. 취업유발효과 110

4. 종합 및 분석의 시사점 115


제4장 부문별 파급효과 분석과 시사점 도출 121

제1절 부문별 파급효과 분석 121

1. 수산 121

2. 해운 136

3. 항만 142

4.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 147

5. 해양수산 기자재 제조 152

6. 해양자원 개발 및 건설 157

7. 해양수산 레저관광 161

8.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 166

제2절 분석의 시사점 171

1. 성장률 측면  171

2. 전후방연쇄효과 측면 173

3. 파급효과 측면 174

4. 부가가치 및 고용 측면 175

5. 해양수산 성장 키섹터(Key Sectors) 179


제5장 결론 183


참고문헌 187


부 록 193


사업보고서 상세보기
2022 해양수산업 분석 보고서 - 2018~2019년 산업연관표 기준 -
구분 일반사업 2022-01-01 발간일 2023-02-28
공공누리 제 4유형 연구책임자 장정인
파일

요약_ⅰ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3

2. 연구 방법 5

3. 연구의 차별성 6


제2장 해양수산업 중심의 산업연관표 작성 9

제1절 작성 체계 9

1. 산업의 정의 및 분류 10

2. 해양수산업 중심 산업연관표 작성 기본 전제 14

3. 해양수산업 중심 산업연관표 작성 단계 15

제2절 해양수산업 비중 산출 16

1. 해양수산업 비중 산출 개요 16

2. 해양수산업 부문별 산출 결과 19

제3절 해양수산업 중심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 56

1. 해양수산업 규모 및 국민경제적 위상 56

2. 국내 선행연구와 비교 78

3. 세계 해양국과 비교 81


제3장 해양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85

제1절 분석 모형 85

1. 분석 개요 85

2. 분석 모형 87

제2절 해양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96

1. 생산유발효과 102

2. 부가가치 유발효과 105

3. 취업유발효과 110

4. 종합 및 분석의 시사점 115


제4장 부문별 파급효과 분석과 시사점 도출 121

제1절 부문별 파급효과 분석 121

1. 수산 121

2. 해운 136

3. 항만 142

4.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 147

5. 해양수산 기자재 제조 152

6. 해양자원 개발 및 건설 157

7. 해양수산 레저관광 161

8.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 166

제2절 분석의 시사점 171

1. 성장률 측면  171

2. 전후방연쇄효과 측면 173

3. 파급효과 측면 174

4. 부가가치 및 고용 측면 175

5. 해양수산 성장 키섹터(Key Sectors) 179


제5장 결론 183


참고문헌 187


부 록 193


이전글 2023 해양수산 주요지표 전망
다음글 해양수산부문 정책효과 분석을 위한 KMI-GEM 구축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