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동향정보발간 간행물KMI 동향분석

KMI 동향분석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 표시 필요, 사업적 이용 불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제94호(김 재고 증가, 과잉생산 대책 마련 시급) 표지
  • 구분 KMI 동향분석
  • 호수 제94호(김 재고 증가, 과잉생산 대책 마련 시급)
  • PDF PDF Download PDF Download 문서뷰어로 열기
  • 공공누리 제 4유형

목차 / 국문요약

목차 / 국문요약

□ 김 재고, 과잉 생산으로 큰 폭 증가


□김 과잉생산, 큰 폭의 시설량 증가가 주원인


□2019년산 김 생산, 시설 증가로 과잉생산 우려


□김 과잉생산 방지 위한 대책 마련 시급

2017년 우리나라 김 산업은 수출 5억 달러를 처음 달성했고, 농수산식품 중 수출 2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정부는 2024년까지 김 수출 1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김 산업발전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수출주도형 산업으로 김 산업에 힘을 보탰습니다.


하지만 호황을 보이던 김 산업에 있어 최근 재고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2018년산 김이 작년산에 비해 2,400만 속이나 늘면서 과잉생산 되었는데 그 원인은 수출확대로 인한 양식면허 증가 외에도 불법 양식시설이 무분별하게 늘었기 때문입니다. 2018년 상반기 수출실적은 작년 동기간에 비해 247만 속이 증가했지만 생산량 증가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었습니다. 현재의 높은 김 재고 수준을 지속할 경우 김 산업 전반의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므로 현재의 상황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재고 소진 방안을 마련해야하며, 2019년산 김 생산이 또 다시 과잉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대책으로는 첫째, 불법 양식시설 정비를 통한 안정적인 김 생산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한 생산자의 의식개선도 동반되어야 합니다. 두 번째로 김 생산자의 자율적인 수급조절 체계 마련이 요구됩니다. 김 생산자, 정부,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여 ‘(가칭)김 수급조절 위원회’를 발족하고, 적정시설, 과잉생산방지, 재고소진 등의 수급조절 대안을 스스로 마련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입니다. 세 번째로 해외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국외 수요를 확대해 나가고, 주요 수출국을 대상으로 현지화된 제품개발과 맞춤형 마케팅을 실시하여 신규 수요를 창출해 나가야합니다. 마지막으로 정체된 국내 소비를 확대하기 위해 소비자 기호에 맞는 다양한 제품 개발, 지역축제와 연계한 시식행사 등을 통한 소비 확대, 장기적으로는 마른김 등급제 도입을 통한 품질제고 및 질적 성장을 유도해야 할 것입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