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정보연구보고서수시연구
연구정보연구보고서수시연구 
				
				
				
				
					수시연구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 표시 필요, 사업적 이용 불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web/images/contents/img_opentype04.png)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양생태도의 정책활용도 제고방안 연구 상세보기
		
			
			
			
			
		
		
			
				| 해양생태도의 정책활용도 제고방안 연구 | 
			
				
			
			
							| 구분 | 수시 2018-07 | 발간일 | 2019-08-31 | 
							
							| 공공누리 | 제 4유형 | 연구책임자 | 박수진 | 
							
				| 파일 |  | 
			
		
			
											| 
													< 목    차 >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 목적 5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1. 연구 범위 및 구성 6
 2. 연구 방법 7
 제4절 선행연구 검토 9
 1. 선행연구 9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6
   제2장 국내 생태정보 관련 제도의 현황과 활용 19
 제1절 해양생태도의 현황과 활용 20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20
 2. 주요내용 21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23
 제2절 해양공간계획의 해양공간특성평가 25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25
 2. 주요내용  26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30
 4. 해양생태도와 해양공간특성평가와의 관계 32
 제3절 생태·자연도 33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33
 2. 주요내용 34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35
 제4절 국토환경성평가지도 40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40
 2. 주요내용 42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43
 4. 생태·자연도와 국토환경성평가지도와의 관계 48
 제5절 토지적성평가 49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49
 2. 주요내용 50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51
 제6절 국내 생태정보제도 비교·분석의 정책적 시사점 55
   제3장 국외 해양생태정보 관련 제도의 현황과 활용 59
 제1절 호주의 보전가치도 59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59
 2. 주요내용 60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65
 제2절 미국의 해양지적 67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67
 2. 주요내용 68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75
 제3절 유럽연합의 생물다양성전략 이행 평가지표 77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77
 2. 주요내용 80
 3. 현황 및 활용 85
 제4절 해양건강성지수 87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87
 2. 주요내용 89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93
 제5절 국외 생태정보제도 비교·분석의 정책적 시사점 96
   제4장 해양생태도의 정책활용도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99
 제1절 해양생태도의 문제점 및 한계 99
 1. 분석방법 99
 2. 해양생태도의 주요 문제점 및 한계 101
 제2절 해양생태도의 정책 활용도 개선방안 108
 1. 해양생태도의 목적과 용도의 재정립 108
 2. 해양생태도의 위상 강화 112
 3. 해양생태도 등급구분의 개선 114
 4.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및 복원정책과의 연계성 강화 115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21
 제1절 요약 및 결론 121
 제2절 정책제언 및 한계 124
 1. 정책제언 124
 2.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128
 | 
									
	
	
	
	
	
		수시연구 상세보기
		
			
			
			
			
		
		
			
				| 해양생태도의 정책활용도 제고방안 연구 | 
			
							| 구분 | 수시 2018-07 | 발간일 | 2019-08-31 | 
							
							| 공공누리 | 제 4유형 | 연구책임자 | 박수진 | 
							
				| 파일 |  | 
			
		
			
											| 
													< 목    차 >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 목적 5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1. 연구 범위 및 구성 6
 2. 연구 방법 7
 제4절 선행연구 검토 9
 1. 선행연구 9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6
   제2장 국내 생태정보 관련 제도의 현황과 활용 19
 제1절 해양생태도의 현황과 활용 20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20
 2. 주요내용 21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23
 제2절 해양공간계획의 해양공간특성평가 25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25
 2. 주요내용  26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30
 4. 해양생태도와 해양공간특성평가와의 관계 32
 제3절 생태·자연도 33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33
 2. 주요내용 34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35
 제4절 국토환경성평가지도 40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40
 2. 주요내용 42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43
 4. 생태·자연도와 국토환경성평가지도와의 관계 48
 제5절 토지적성평가 49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49
 2. 주요내용 50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51
 제6절 국내 생태정보제도 비교·분석의 정책적 시사점 55
   제3장 국외 해양생태정보 관련 제도의 현황과 활용 59
 제1절 호주의 보전가치도 59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59
 2. 주요내용 60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65
 제2절 미국의 해양지적 67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67
 2. 주요내용 68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75
 제3절 유럽연합의 생물다양성전략 이행 평가지표 77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77
 2. 주요내용 80
 3. 현황 및 활용 85
 제4절 해양건강성지수 87
 1. 제도의 개념 및 목적 87
 2. 주요내용 89
 3. 현황 및 정책적 활용 93
 제5절 국외 생태정보제도 비교·분석의 정책적 시사점 96
   제4장 해양생태도의 정책활용도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99
 제1절 해양생태도의 문제점 및 한계 99
 1. 분석방법 99
 2. 해양생태도의 주요 문제점 및 한계 101
 제2절 해양생태도의 정책 활용도 개선방안 108
 1. 해양생태도의 목적과 용도의 재정립 108
 2. 해양생태도의 위상 강화 112
 3. 해양생태도 등급구분의 개선 114
 4.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및 복원정책과의 연계성 강화 115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21
 제1절 요약 및 결론 121
 제2절 정책제언 및 한계 124
 1. 정책제언 124
 2.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12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