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 새로운 상생․협력의 균형발전 축으로 활용
담당부서 지역균형·관광연구실 보도일 2021-12-01
파일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 새로운 상생․협력의 균형발전 축으로 활용

-「2021 전국 해양수산 대토론회」개최 결과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직무대행 김종덕)은 지난 11월 29일(월)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2021 전국 해양수산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KMI 유튜브 채널에서도 실시간으로 중계했다.

 * 행사영상 다시보기 https://youtu.be/SqYKrJ5OGHk


올해 전국 해양수산 대토론회에서는 공무원, 전문가, 시민단체, 주민, 기업이 모여 해양과 국토의 상생 공간인 ‘新연안경제권’ 구축과 연안경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번 대토론회는 해양수산 광역협력 구상을 시작으로 중앙·지역의 이행과제와 현장의 실천사례를 공유하며 해양 중소도시, 바다마을, 섬 등을 연결한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지도’를 입체적으로 다뤘다. 


행사에는 김종덕 KMI 원장 직무대행,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양승조 충청남도지사,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과 더불어, 연안 시·도 공무원, ㈜얌테이블과 ㈜비티엔 등 민간기업, 청년기업인 괜찮아마을(㈜0장0장)과 경남 청년어람센터, 전남 가고 싶은 섬 사업의 주민대표, 시·도 연구원과 국책연구원 등 전국 각지 다양한 부문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연안경제의 지역·협력을 키워드로 진행된 발표에서는 ▲균형발전을 위한 광역협력사업에 대한 강현수 국토연구원장의 기조강연에 이어, 전문가와 공무원이 ▲지역 주도 연안경제 활성화 협력과제 ▲충남과 경북의 연안경제 활성화 방안을 공유했다. 2부에서는 ▲청년세대가 살고 싶은 해양도시(괜찮아마을) ▲지역주민이 만드는 섬마을 이야기(보성 장도)를 주제로 지역살이 청년과 섬주민이 직접 사례를 소개했다.


3부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연안경제 활성화의 과제와 지역 주도의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토론했다. 분야·지역별 사례를 바탕으로 연안경제의 실현요건, 한계와 과제 등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 토론내용 요약표는 <첨부1> 참조


먼저, 올해 연안경제 활성화 추진체계(해수부-시·도-KMI)를 경험한 충남과 경북에서는 해양수산 분야의 광역협력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법제 정비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충남연구원 오용준 선임연구위원은 기후위기 등 공동의제에 대응하는 초광역 협력의 강점을 소개했고, ▲(주)비티엔 이병열 대표는 청년맞춤형 정주여건 개선 등 충남 연안의 인구유입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구경북연구원 권혁준 부연구위원은 연안경제 추진체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시·도 해양수산 계획 수립의 법적 근거와 이행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안 균형발전 관점의 지역 특성화 논의도 등장했다. ▲전북연구원 나정호 연구위원은 지역간 경쟁·독점에서 나아가 특화와 공생의 개념을 강조한 새로운 해양수산 정책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제시했고, ▲강원연구원 김충재 연구위원은 해양수산 정책의 지역적 다핵화와 함께 지역 역량을 고려한 분권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논했다. ▲전남 섬발전지원센터 정태균 섬 전문위원은 전남의 해양수산 정책 특성화 사례로 ‘섬 주민 천원 여객선’과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 등을 공유했다. 


다음으로 지역이 주도하는 어촌·수산 혁신의 필요성과 방안을 논의했다. ▲경남 청년어람센터 서정영 센터장은 언론․정책의 주목에 비해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어촌사회의 역량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청년세대 지원 등 공동체 역량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경남연구원 채동렬 연구위원은 어촌뉴딜 300 등 중앙정부의 정책이 지역․권역의 차별성을 반영하고, 지역은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해양수산 정책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얌테이블 김양환 CSO(Chief Strategy Officer)는 유통채널 전환과 소비트렌드 분석을 통한 수산물 벨류체인의 변화가 지역 기반의 수산혁신, 어촌 일자리 창출 등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지역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과 협력방식의 전환으로 연안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장을 마련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공유했다. ▲(주)0장0장 박명호 대표는 괜찮아마을 운영 사례를 통해 연안 지역사회 침체의 대안으로서 청년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생태계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어 ▲국토연구원 차미숙 선임연구위원은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비연안 또는 비인접지역,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연계 등 유연한 협력방식을 찾는 과정이 연안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자산이 될 것 이라고 강조했다.


라운드테이블의 사회를 맡은 KMI 이성우 종합정책연구본부장은 “연안은 해양․국토의 시작점이자 국가․지역경제 발전의 핵심공간으로,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를 균형발전의 모델로 만들어 현장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양한 지역과 분야의 공무원, 전문가, 주민, 현장활동가, 기업이 모여 연안경제 활성화를 논의한 이번 대토론회가 지역이 주도하고 중앙이 지원하는 연안경제 지도를 그리는 새로운 판을 열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 새로운 상생․협력의 균형발전 축으로 활용
담당부서 지역균형·관광연구실 보도일 2021-12-01
파일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 새로운 상생․협력의 균형발전 축으로 활용

-「2021 전국 해양수산 대토론회」개최 결과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직무대행 김종덕)은 지난 11월 29일(월)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2021 전국 해양수산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KMI 유튜브 채널에서도 실시간으로 중계했다.

 * 행사영상 다시보기 https://youtu.be/SqYKrJ5OGHk


올해 전국 해양수산 대토론회에서는 공무원, 전문가, 시민단체, 주민, 기업이 모여 해양과 국토의 상생 공간인 ‘新연안경제권’ 구축과 연안경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번 대토론회는 해양수산 광역협력 구상을 시작으로 중앙·지역의 이행과제와 현장의 실천사례를 공유하며 해양 중소도시, 바다마을, 섬 등을 연결한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지도’를 입체적으로 다뤘다. 


행사에는 김종덕 KMI 원장 직무대행,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양승조 충청남도지사,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과 더불어, 연안 시·도 공무원, ㈜얌테이블과 ㈜비티엔 등 민간기업, 청년기업인 괜찮아마을(㈜0장0장)과 경남 청년어람센터, 전남 가고 싶은 섬 사업의 주민대표, 시·도 연구원과 국책연구원 등 전국 각지 다양한 부문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연안경제의 지역·협력을 키워드로 진행된 발표에서는 ▲균형발전을 위한 광역협력사업에 대한 강현수 국토연구원장의 기조강연에 이어, 전문가와 공무원이 ▲지역 주도 연안경제 활성화 협력과제 ▲충남과 경북의 연안경제 활성화 방안을 공유했다. 2부에서는 ▲청년세대가 살고 싶은 해양도시(괜찮아마을) ▲지역주민이 만드는 섬마을 이야기(보성 장도)를 주제로 지역살이 청년과 섬주민이 직접 사례를 소개했다.


3부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연안경제 활성화의 과제와 지역 주도의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토론했다. 분야·지역별 사례를 바탕으로 연안경제의 실현요건, 한계와 과제 등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 토론내용 요약표는 <첨부1> 참조


먼저, 올해 연안경제 활성화 추진체계(해수부-시·도-KMI)를 경험한 충남과 경북에서는 해양수산 분야의 광역협력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법제 정비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충남연구원 오용준 선임연구위원은 기후위기 등 공동의제에 대응하는 초광역 협력의 강점을 소개했고, ▲(주)비티엔 이병열 대표는 청년맞춤형 정주여건 개선 등 충남 연안의 인구유입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구경북연구원 권혁준 부연구위원은 연안경제 추진체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시·도 해양수산 계획 수립의 법적 근거와 이행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안 균형발전 관점의 지역 특성화 논의도 등장했다. ▲전북연구원 나정호 연구위원은 지역간 경쟁·독점에서 나아가 특화와 공생의 개념을 강조한 새로운 해양수산 정책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제시했고, ▲강원연구원 김충재 연구위원은 해양수산 정책의 지역적 다핵화와 함께 지역 역량을 고려한 분권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논했다. ▲전남 섬발전지원센터 정태균 섬 전문위원은 전남의 해양수산 정책 특성화 사례로 ‘섬 주민 천원 여객선’과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 등을 공유했다. 


다음으로 지역이 주도하는 어촌·수산 혁신의 필요성과 방안을 논의했다. ▲경남 청년어람센터 서정영 센터장은 언론․정책의 주목에 비해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어촌사회의 역량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청년세대 지원 등 공동체 역량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경남연구원 채동렬 연구위원은 어촌뉴딜 300 등 중앙정부의 정책이 지역․권역의 차별성을 반영하고, 지역은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해양수산 정책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얌테이블 김양환 CSO(Chief Strategy Officer)는 유통채널 전환과 소비트렌드 분석을 통한 수산물 벨류체인의 변화가 지역 기반의 수산혁신, 어촌 일자리 창출 등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지역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과 협력방식의 전환으로 연안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장을 마련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공유했다. ▲(주)0장0장 박명호 대표는 괜찮아마을 운영 사례를 통해 연안 지역사회 침체의 대안으로서 청년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생태계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어 ▲국토연구원 차미숙 선임연구위원은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비연안 또는 비인접지역,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연계 등 유연한 협력방식을 찾는 과정이 연안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자산이 될 것 이라고 강조했다.


라운드테이블의 사회를 맡은 KMI 이성우 종합정책연구본부장은 “연안은 해양․국토의 시작점이자 국가․지역경제 발전의 핵심공간으로, 지역 주도의 연안경제 활성화를 균형발전의 모델로 만들어 현장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양한 지역과 분야의 공무원, 전문가, 주민, 현장활동가, 기업이 모여 연안경제 활성화를 논의한 이번 대토론회가 지역이 주도하고 중앙이 지원하는 연안경제 지도를 그리는 새로운 판을 열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전글 정책으로 만나는 북극과 세계, 북극협력 2030을 논의하다
다음글 위드 코로나 시대에 물류기술산업의 대응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