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전복 양식업 성장세 둔화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3-10-14
파일

“전복 양식업 성장세 둔화”
- 폐사율 높고, 태풍 등 자연재해 영향 -

1. 지난 10년간 급성장한 전복 양식업
□ (현황) 우리나라 전복 양식업은 2000년대 이후 급성장
 ㅇ 2001년 생산량 29톤에서 2012년 6,564톤으로 230배가량 증가
   -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전복 양식업은 살포식, 육상수조식 등이 있었으나 생산량은 미미
   - 2000년대 초반 이후 가두리식 양식법이 보급되어 급속도의 성장력을 보였음
    ※ 전복 양식량: (’01) 29M/T → (’03) 1,065M/T → (’12) 6,564M/T
      (2011년 현재 세계 전복 양식량의 8.0%를 점하고 있으며,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양식국으로 성장)
 ㅇ 이와 같은 전복 양식업의 급성장 배경으로는 가두리 양식법의 기술 확산, 풍부한 먹이(미역, 다시마) 생산 능력 보유, 전복 주생산지의 젊은 인력 유입 등에 기인함
□ (동향) 생산증가와 더불어 수출도 급격하게 증가
 ㅇ 2003년 21톤이던 수출량이 2012년에는 1,333톤으로 증가
   - 대부분의 전복 수출시장은 일본이며, 일본 활전복 시장의 85% 정도를 점유
    ※ 일본 전복 수입량 추이: (’11) 1,523M/T → (’12) 1,561M/T
    ※ 일본의 한국산 전복 수입 점유율 추이: (’10) 80.4% → (’11) 84.0% →   (’12) 85.7%
2. 10대 전략 양식품목 중 가장 성장기대 높아
□ (전망) 전복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아 10대 전략 양식품목으로 선정
 ㅇ 세계 전복 시장은 해마다 증가
   - 2011년 세계 전복 생산량은 9만 7,805M/T으로서 2003년 이후 연평균 18%씩 증가
   - 이중 양식전복은 8만 6,455톤으로서 양식 점유율이 88.4%를 차지하고 있음
    ※ 세계 전복 생산량 추이(FAO)
             (’03) 26,000M/T → (’11) 97,805M/T(연평균 18.0% 증가)
 ㅇ 전복은 우리나라 10대 전략 양식품목으로 선정
   - 갯벌참굴, 해삼, 등과 더불어 미래 양식업의 전략 품목으로서 전복이 포함
    ※ 10대 전략 양식품목: 갯벌참굴, 해삼, 전복, 광어, 참치, 해조류, 새우, 뱀장어, 능성어, 관상어
□ (시사점) 전복 양식업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으나 시차적 발전이 필요
 ㅇ 세계 최대의 전복 소비국인 중국과 일본이 인접
   - 중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중국 시장은 세계 전복의 블랙홀 역할
   - 일본은 전통적인 활전복 소비국으로서 우리나라 전복의 단골 고객임
    ※ 일본인이 회로서 선호하는 전복 종류는 한국과 일본에서만 생산되는 참전복임
    ※ 중국인의 전복 소비형태는 회보다는 요리하여 먹는 것이 일반적임. 따라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참전복보다는 남방산 전복 등을 주로 수입
 ㅇ 따라서 일본은 우리나라 전복의 고부가가치 수출시장으로서 매우 중요하고, 중국은 잠재 수출 시장으로서 매우 중요
3. 전복 양식업 구조 변화 조짐
□ (문제점) 성장 일변도였던 전복 양식업에 구조 변화 조짐을 보여
 ㅇ 생산증가 둔화 및 감소 경향 보여
   - 증가일변도였던 생산량 증가세가 2000년대 후반 이후 둔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2012년에는 생산량 감소
    ※ 전복 생산량 증가세 추이: (’02/’01)  193.1% → (’12/’11) △ 3.2%
   - 증가세 둔화 및 감소의 원인은 높은 폐사율, 태풍 등 자연재해의 영향 등에 기인함
    ※ 전복 폐사율 추정(’03) 5~10% → (’13) 30~40%
    ※ 높은 폐사율은 밀식, 근친교배에 의한 치패의 열성화로 질병에 대한 내병력 약화 등에 기인함
 ㅇ 소형 전복 중심으로 출하 구조도 바뀌어
   - 폐사율 증가, 자연재해의 빈발 등으로 조기 출하 경향이 늘어
    ※ 소복(20미 이상/kg) 출하비율 추이(’07) 7.9% → (’12) 40.4%
    ※ 대복(8~10미/kg) 출하비율 추이(’07) 10.1% → (’12) 2.2%
   - 대복 출하감소는 부가가치 감소 및 수출 물량 부족으로 이어짐
 ㅇ 수출 증가세도 둔화 경향 보여
   - 일본 시장 포화상태로 수출 증가세 둔화 경향(일본 시장의 85% 점유)
    ※ 전복 수출량 증가세 추이: (’04/’03) 233.3% → (’12/’11) 8.5%
□ (개선방안) 지속적 전복 양식업 발전을 위해 내실을 다지는 전략 필요
 ㅇ 최근 지자체의 급속한 신규 시설 확충은 자제되어야
   - 전복 양식업의 성장에 힘입어 전남도에서는 신규시설 확충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국내 및 수출시장을 고려해가면서 단계적 확충이 필요
ㅇ  폐사율 저감과 태풍에 의한 피해 예방 강구
   - 폐사율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밀식 방지 및 우량 종묘 생산 촉진(우량 종묘 생산에 대한 정부 인센티브 부여 등)
   - 태풍 피해를 줄이기 위해 내구성 가두리 제작비 지원
ㅇ  수출 촉진책 마련
   - 지속적인 수출 증대를 통해 큰 크기 전복에 대한 국내 생산 여력을 높이도록 할 필요가 있음
   - 대일 수출 일변도에서 벗어나 수출국 다변화를 꾀하도록 함
4. 향후 대책
□ (안정적 생산 체제 확립) 안정적 생산을 위해 내구성 시설 및 우량 종묘 보급 정책 추진
 ㅇ 강력한 태풍에 견딜 수 있는 내파성 가두리 보급 지원
  - 시설 자금 지원
 ㅇ 우량 종묘 생산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 우량 종묘 생산업체를 선정하여 인증제 도입 및 홍보
□ (해외 시장 개척 지원) 중국, 홍콩 등 중화권 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책 마련
 ㅇ 중화권 시장의 전복 수입 및 소비 동향 정보 제공
 ㅇ 중화권 시장 수출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 중화권 시장 수출을 목표로 건전복 가공기술 및 시설 지원
□ (유통인프라 투자 확대) 안정적 수출 물량 확보를 위한 대형집하장 설치
 ㅇ 해외 수출의 경우 안정적인 가격유지와 물량 공급이 매우 중요
  - 대형집하장을 설치하여 유통물량의 허브 역할을 수행
     (대형 가두리 및 육상수조시설 구비)
  - 이는 수출시장 뿐만 아니라 국내 가격 안정을 위해서도 필요

보도자료 상세보기
전복 양식업 성장세 둔화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3-10-14
파일

“전복 양식업 성장세 둔화”
- 폐사율 높고, 태풍 등 자연재해 영향 -

1. 지난 10년간 급성장한 전복 양식업
□ (현황) 우리나라 전복 양식업은 2000년대 이후 급성장
 ㅇ 2001년 생산량 29톤에서 2012년 6,564톤으로 230배가량 증가
   -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전복 양식업은 살포식, 육상수조식 등이 있었으나 생산량은 미미
   - 2000년대 초반 이후 가두리식 양식법이 보급되어 급속도의 성장력을 보였음
    ※ 전복 양식량: (’01) 29M/T → (’03) 1,065M/T → (’12) 6,564M/T
      (2011년 현재 세계 전복 양식량의 8.0%를 점하고 있으며,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양식국으로 성장)
 ㅇ 이와 같은 전복 양식업의 급성장 배경으로는 가두리 양식법의 기술 확산, 풍부한 먹이(미역, 다시마) 생산 능력 보유, 전복 주생산지의 젊은 인력 유입 등에 기인함
□ (동향) 생산증가와 더불어 수출도 급격하게 증가
 ㅇ 2003년 21톤이던 수출량이 2012년에는 1,333톤으로 증가
   - 대부분의 전복 수출시장은 일본이며, 일본 활전복 시장의 85% 정도를 점유
    ※ 일본 전복 수입량 추이: (’11) 1,523M/T → (’12) 1,561M/T
    ※ 일본의 한국산 전복 수입 점유율 추이: (’10) 80.4% → (’11) 84.0% →   (’12) 85.7%
2. 10대 전략 양식품목 중 가장 성장기대 높아
□ (전망) 전복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아 10대 전략 양식품목으로 선정
 ㅇ 세계 전복 시장은 해마다 증가
   - 2011년 세계 전복 생산량은 9만 7,805M/T으로서 2003년 이후 연평균 18%씩 증가
   - 이중 양식전복은 8만 6,455톤으로서 양식 점유율이 88.4%를 차지하고 있음
    ※ 세계 전복 생산량 추이(FAO)
             (’03) 26,000M/T → (’11) 97,805M/T(연평균 18.0% 증가)
 ㅇ 전복은 우리나라 10대 전략 양식품목으로 선정
   - 갯벌참굴, 해삼, 등과 더불어 미래 양식업의 전략 품목으로서 전복이 포함
    ※ 10대 전략 양식품목: 갯벌참굴, 해삼, 전복, 광어, 참치, 해조류, 새우, 뱀장어, 능성어, 관상어
□ (시사점) 전복 양식업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으나 시차적 발전이 필요
 ㅇ 세계 최대의 전복 소비국인 중국과 일본이 인접
   - 중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중국 시장은 세계 전복의 블랙홀 역할
   - 일본은 전통적인 활전복 소비국으로서 우리나라 전복의 단골 고객임
    ※ 일본인이 회로서 선호하는 전복 종류는 한국과 일본에서만 생산되는 참전복임
    ※ 중국인의 전복 소비형태는 회보다는 요리하여 먹는 것이 일반적임. 따라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참전복보다는 남방산 전복 등을 주로 수입
 ㅇ 따라서 일본은 우리나라 전복의 고부가가치 수출시장으로서 매우 중요하고, 중국은 잠재 수출 시장으로서 매우 중요
3. 전복 양식업 구조 변화 조짐
□ (문제점) 성장 일변도였던 전복 양식업에 구조 변화 조짐을 보여
 ㅇ 생산증가 둔화 및 감소 경향 보여
   - 증가일변도였던 생산량 증가세가 2000년대 후반 이후 둔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2012년에는 생산량 감소
    ※ 전복 생산량 증가세 추이: (’02/’01)  193.1% → (’12/’11) △ 3.2%
   - 증가세 둔화 및 감소의 원인은 높은 폐사율, 태풍 등 자연재해의 영향 등에 기인함
    ※ 전복 폐사율 추정(’03) 5~10% → (’13) 30~40%
    ※ 높은 폐사율은 밀식, 근친교배에 의한 치패의 열성화로 질병에 대한 내병력 약화 등에 기인함
 ㅇ 소형 전복 중심으로 출하 구조도 바뀌어
   - 폐사율 증가, 자연재해의 빈발 등으로 조기 출하 경향이 늘어
    ※ 소복(20미 이상/kg) 출하비율 추이(’07) 7.9% → (’12) 40.4%
    ※ 대복(8~10미/kg) 출하비율 추이(’07) 10.1% → (’12) 2.2%
   - 대복 출하감소는 부가가치 감소 및 수출 물량 부족으로 이어짐
 ㅇ 수출 증가세도 둔화 경향 보여
   - 일본 시장 포화상태로 수출 증가세 둔화 경향(일본 시장의 85% 점유)
    ※ 전복 수출량 증가세 추이: (’04/’03) 233.3% → (’12/’11) 8.5%
□ (개선방안) 지속적 전복 양식업 발전을 위해 내실을 다지는 전략 필요
 ㅇ 최근 지자체의 급속한 신규 시설 확충은 자제되어야
   - 전복 양식업의 성장에 힘입어 전남도에서는 신규시설 확충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국내 및 수출시장을 고려해가면서 단계적 확충이 필요
ㅇ  폐사율 저감과 태풍에 의한 피해 예방 강구
   - 폐사율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밀식 방지 및 우량 종묘 생산 촉진(우량 종묘 생산에 대한 정부 인센티브 부여 등)
   - 태풍 피해를 줄이기 위해 내구성 가두리 제작비 지원
ㅇ  수출 촉진책 마련
   - 지속적인 수출 증대를 통해 큰 크기 전복에 대한 국내 생산 여력을 높이도록 할 필요가 있음
   - 대일 수출 일변도에서 벗어나 수출국 다변화를 꾀하도록 함
4. 향후 대책
□ (안정적 생산 체제 확립) 안정적 생산을 위해 내구성 시설 및 우량 종묘 보급 정책 추진
 ㅇ 강력한 태풍에 견딜 수 있는 내파성 가두리 보급 지원
  - 시설 자금 지원
 ㅇ 우량 종묘 생산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 우량 종묘 생산업체를 선정하여 인증제 도입 및 홍보
□ (해외 시장 개척 지원) 중국, 홍콩 등 중화권 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책 마련
 ㅇ 중화권 시장의 전복 수입 및 소비 동향 정보 제공
 ㅇ 중화권 시장 수출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 중화권 시장 수출을 목표로 건전복 가공기술 및 시설 지원
□ (유통인프라 투자 확대) 안정적 수출 물량 확보를 위한 대형집하장 설치
 ㅇ 해외 수출의 경우 안정적인 가격유지와 물량 공급이 매우 중요
  - 대형집하장을 설치하여 유통물량의 허브 역할을 수행
     (대형 가두리 및 육상수조시설 구비)
  - 이는 수출시장 뿐만 아니라 국내 가격 안정을 위해서도 필요

이전글 한ㆍ남태평양 수산포럼 개최
다음글 수산종자 관측사업 시작한다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